총 6개
-
지역사회 간호과정 적용 사례 보고서2024.09.211. 서론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주민의 욕구충족과 최적의 건강 성취 및 실현을 돕기 위해 간호 행위를 조직화한 틀이다. 지역사회 간호과정의 절차는 지역사회의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지역사회를 사정하여 지역사회주민들의 적정기능 수준 향상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주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나아가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수준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특성과 건강문제...2024.09.21
-
해외 응급의료정책2024.10.041. 국내외 재난 보건의료정책 현황 1.1. 재난의 개념과 유형 1.1.1.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은 재난의 원인에 따른 분류이다. 자연재난은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이며, 사회재난은 인위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재난이다. 자연재난의 경우, 지리·물리적(지진, 화산폭발, 쓰나미 등), 수문학적(홍수, 호우 등), 기상학적(태풍, 싸이클론 등), 기후관련(가뭄, 산불 등), 생물학적(감염병 등)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자연재난은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으며, 그 피해규모와 범위가 커서 재난대응 ...2024.10.04
-
보건직공무원 공중보건2024.10.141. 우리나라 공중보건 발달과정 1.1. 삼국시대 및 고려시대 통일신라시대에는 약전(藥田), 공봉의사, 내공봉의사, 승의(丞醫), 국의(局醫) 제도 등이 있었다. 약전은 당시의 의료행정을 담당한 기관으로 경덕왕 때에 보명사로 개명되었다가 다시 약전으로 바뀌었다. 내공봉의사는 왕실의 진료를 맡은 시의였으며, 공봉의사는 약전에 근무하였다. 신라시대에는 전염병의 발생시 의원을 파견했다는 기록이 없으나, 고려시대에는 전염병유행지역에 의원의 파견과 약제를 보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의료의 조직화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앙관청으로...2024.10.14
-
지역사회간호과정 익산시보건소 흡연2024.12.161.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 지역 개요 익산시는 전라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도농복합 도시이다. 익산시의 행정구역은 1읍, 14면, 14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506.53㎢이다. 익산시는 363개의 의료기관과 40개 보건기관이 있으며, 의료인은 2,137명이 근무하고 있다. 동지역(14동)에는 전체 인구의 79.0%가 거주하고 있으며, 교육 및 상권이 편중되어 있어 주간시간대 인구 밀집도가 높으며, 영화관 및 대형마트 등의 문화시설이 모두 동지역에 존재하고 있다. 반면 읍·면지역(1읍·14면)에는 전체 인구의 21...2024.12.16
-
도봉 CNP2024.09.051. 도봉구 개요 1.1. 지리적 특성 도봉구는 서울의 최북단에 위치한 구로, 서측은 백운대와 도봉산을 잇는 북한산국립공원 및 개발제한 구역이 입지하고, 동측의 중랑천과 남측의 우이천을 경계로 노원구 및 강북구와 연접하여 있으며 북측은 의정부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서울의 중심인 광화문에서 동북쪽으로 약12㎞ 지점이 도봉구의 중심인 방학동이 된다. 도봉구는 동쪽으로 노원구 상계동, 서쪽으로 강북구 수유동, 남쪽으로 노원구 월계동 및 강북구 번동, 북쪽으로 의정부시 장암동과 접하고 있는 서울 동북부의 관문 지역이다. 도봉구 전체 ...2024.09.05
-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 익산시2024.09.011. 지역사회 환경 분석 1.1. 지리적 현황 1.1.1. 위치 및 특성 군산시는 금강의 끝자락 북위 36도 선이 지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서수면, 서쪽으로는 어청도, 남쪽으로는 비안도, 북쪽으로는 나포면 원나포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또한 군산은 금강의 왼쪽 끝에 위치하면서 넓은 호남평야를 등지고 있으며, 서해안의 중심적 항구도시로 익산시, 김제시, 부안군, 서천군, 보령시 등과 인접해 있다. 군산시는 함라산맥의 능선으로 대부분 충적평야와 구릉지로 되어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해발 210여 m의 오성산, 장계산,...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