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감염성 질병의 발생 전파, 예방, 관리에 관한 국내외 정책 관련 보고서 및 정책 제안서2024.10.251. 서론 1.1. 최근 자주 발생하는 국내외 감염병의 종류 최근 자주 발생하는 국내외 감염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하는 뎅기열, 필리핀, 베트남, 인도, 캄보디아, 말레이시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베트남, 필리핀, 태국, 유럽지역 국가에서 발생하는 홍역, 감염된 모기에 물려 발생하는 말라리아, HIV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최근 유행 중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등이 있다. 우리나라...2024.10.25
-
보건의료법규사례보고서2024.09.071. 보건의료법규 사례보고서 1.1. 보건의료법규 판례의 적용 1.1.1. 의료인의 비밀누설 금지의무 의료인의 비밀누설 금지의무는 의료법 제19조에 규정된 의료인의 주요 의무 중 하나이다. 의료법 제19조는 "의료인은 이 법이나 다른 법령에 특별히 규정된 경우 외에는 의료·조산 또는 간호를 하면서 알게 된 다른 사람의 비밀을 누설하거나 발표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의학적 전문지식을 기초로 사람의 생명, 신체나 공중위생에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인에 대하여 법이 정한 엄격한 자격요건과 함...2024.09.07
-
지역간 의료불균형의 문제를 2가지 이상 기술하고, 의료불균형 해소 및 필수의료 강화 방안을 2가지 이상 기술 보고서2025.05.301. 지역간 의료불균형의 문제 1.1. 의료기관 및 인력 분포의 지역적 편차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및 인력 분포는 지역 간 편차가 크다. 수도권 지역에 의료기관과 의료인력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는 반면, 지방 지역의 의료자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 10만 명당 병상 수는 수도권이 689.0개로 가장 많지만, 강원(476.2개), 충남(475.9개), 전북(476.1개) 등 지방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도 서울(2.8명)과 경기(2.2명)가 가장 높고, 전남(1.2명), ...202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