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연제구 지역사회간호2024.10.081. 지역사회 개요 1.1. 일반 현황 연제구는 부산광역시의 중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동쪽으로 해운대구, 서쪽으로는 부산진구, 남쪽으로는 수영구와 남구, 북쪽으로는 동래구와 접하는 부산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연제구는 12.10㎢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부산광역시청, 부산지방경찰청, 부산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부산지방검찰청, 부산고등검찰청, 부산지방국세청,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부산지방우정청 등 여러 관공서와 법조타운이 밀집한 부산의 행정 중심지이다. 또한 금련산과 황령산의 일부가 구의 남부에 포함되며, 온천천이 구의 북서부를 ...2024.10.08
-
간호관리학 QI보고서 의료폐기물 분리2024.12.251. 의료폐기물 관리 현황 및 문제점 1.1. 의료폐기물의 정의와 특성 의료폐기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 및 인체 조직의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와 같이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을 말한다. 의료폐기물은 일반폐기물과 구분되며, 감염성 및 유해성 폐기물을 포함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의료폐기물은 일반폐기물과는 달리 2차 오염의 우려가 있어 적절한 위생적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1.2. 의료폐기물 발생량...2024.12.25
-
환자 안전 사고2024.10.201. 서론 1.1. 환자안전의 정의와 중요성 환자안전이란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위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환자안전은 "보건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수용 가능한 최소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환자안전은 의료의 질과 직결되어 있으며, 환자에게 제공되는 치료와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의료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해 사건들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환자안전사고는 병원 내에서 흔히 발생하며, ...2024.10.20
-
응급재난보고서 화재사건2024.08.281. 서론 1.1. 화재 발생 현황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의 과밀화, 도시화와 산업시설의 집중화, 교통수단의 발달 등 사회적, 인위적 조건에 따라 대규모의 재난과 응급상황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행정안전부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발생한 사회 재난 1,502,643건 중 화재는 216,499건으로 전체 사회 재난의 약 14%에 달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각종 난방 기구의 사용이 늘어나기 때문에 화재 발생 빈도가 더욱 증가하며,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총 216,499건의 화재 중 겨...2024.08.28
-
의료대란2024.09.031. 의대증원 도입과 의료 대란 1.1. 의대증원 파업과정 및 과거사례 정부는 203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1530만명으로 증가하는 등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돼 의사가 1만5000명 부족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5년간 의대 정원을 매년 2000명씩 늘리고 5년 뒤에 의대 정원을 재조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의사들은 집단 파업에 돌입하였다. 의사들의 파업은 과거에도 몇차례 존재하였으며, 대부분의 의사들의 승리로 결론났다. 국내 의사단체가 세력화해 의사 파업의 물꼬를 튼 것은 2000년 의약분업 사태부...2024.09.03
-
목포시 지역 분석2024.09.041. 목포시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 지리적·인구학적·사회학적 특성 목포시는 전라남도의 서남단 무안반도 남쪽에 자리하고 있다. 총 면적은 50.08㎢이며 일반대지가 21.7%, 전답이 24.5%, 임야가 25.7%, 기타 28.1%를 차지하고 있다. 북동쪽으로는 무안군, 남쪽으로는 영암군을 바라보고 있으며 구도심 중심부에는 유달산, 동쪽에는 입암산, 북쪽에는 양을산·대박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고 남쪽은 영산강 하구가 위치하고 있다. 목포시의 인구는 2001년부터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전년 대비 1,117명이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