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2024.10.051. 임상병리학과 소개 1.1. 임상병리학과의 정의 및 주요 업무 임상병리학과는 의료기사인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학과로, 진단검사의학이라고도 불린다. 진단검사의학은 인체로부터 채취된 각종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선별, 조기 발견, 진단 및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에 기여하고 질병의 기전 및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사는 검사를 처방하는 의사들의 자문에 응하여 유효한 임상적 성과를 얻게 하는 전문 진료과목의 역할을 수행한다. 임상병리사의 주요 업무는 혈액검사, 체액검사, 세포검사, 조직검사, 뇌파검사 등 각종 의학...2024.10.05
-
임상병리사 대학병원 합격2024.10.131. 임상병리학과(임상의학과) 1.1. 임상병리학과 소개 임상병리학과는 혈액이나 체액, 소변, 조직 등을 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임상검사 기술을 연구하고,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 등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의·생명 분야가 융합된 응용학문이다. 특히 임상 화학, 진단 혈액학, 임상 미생물학, 임상 면역학, 수혈의학, 진단조직세포학, 세포유전학 및 분자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성 있는 정확한 검사 결과를 제공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임상병리사를 양성...2024.10.13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조직학 요약2024.10.091. 조직검사학 1.1. 조직검체 및 육안검사 1.1.1. 생검검체의 종류 1.1.1.1. 펀치생검 펀치생검은 피부 및 자궁외경부 용종 절제술에 사용되는 생검 방법이다. 펀치생검은 피부나 자궁 외경부의 병변 부위에서 조직의 일부를 원통 모양으로 떼어내 채취하는 기법이다. 이 방법은 특수한 펀치 생검기기를 사용하여 조직을 채취한다. 펀치생검의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 병변의 진단에 사용된다. 둘째, 자궁경부의 점막을 절제하여 양성 및 악성 병변을 진단하는데 활용된다. 셋째, 점막하 절제술(EMR)과 점막하 절제...2024.10.09
-
검체채취 순서 및 주의사항2025.01.051. 병원의 진료과목 및 종사자 1.1. 병원 진료과목의 종류와 특징 1.1.1. 외과 외과는 외부로 드러난 부위나 내부 장기의 손상이나 이상을 수술로 치료하는 진료과이다. 외과에는 족부외과, 수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유방외과, 성형외과 등의 하위 분야가 있다. 족부외과는 발과 발목에 발생하는 질환 및 손상을 다루는 분야로, 타박상, 골절, 관절염 등을 치료하며 보행 문제와 관련된 치료를 수행한다. 수부외과는 손과 손목의 질환 및 손상을 다루며, 상처 치료, 접합술, 결손 보철 등을 통해 손 기능의 회복을 돕는다. 정...2025.01.05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2024.12.021. 임상병리학과와 임상병리사 1.1. 임상병리학과 소개 임상병리학과는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인 중 의료기사인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학과로, 단과대학으로는 보건과학대학(College of Science in Public health)에 속해져 있다. 임상병리학을 진단검사의학이라고도 하는데, 진단검사의학(Laboratory medicine)이란 인체로부터 채취되는 각종 검체로 특정 물질을 검사함으로써 질병의 선별 및 조기 발견, 진단 및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에 기여하고 질병의 기전 및 병의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검사를 처...2024.12.02
-
보건의료인 간의 상호협력2024.10.181. 보건의료인의 정의와 역할 1.1. 보건의료인의 개념 및 구성 "보건의료인"이란 보건의료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격, 면허 등을 취득하거나 보건의료서비스에 종사하는 것이 허용된 자를 말한다. 보건의료인에는 의료인, 의료기사, 그리고 그 외 기타 의료 계통 면허 및 자격이 있는 직업이 있다. "의료인"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 및 간호사를 말한다.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는 병원에서 환자를 진료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역할을 하며, 조산사는 임부, 해산부, 산욕부 및 신생아...2024.10.18
-
작업치료 국가고시2024.11.021. 병원의 진료과목, 종사자 및 공간 1.1. 병원 진료과목의 종류와 특징 1.1.1. 외과 외과는 외부로 드러난 부위나 내부 장기의 손상이나 이상을 수술로 치료하는 진료과이다. 외과에는 족부외과, 수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유방외과, 성형외과 등의 하위 분야가 있다. 족부외과는 발과 발목에 발생하는 질환 및 손상을 다루는 진료과로, 타박상, 골절, 관절염 등을 치료하며 보행 문제와 관련된 치료를 수행한다. 수부외과는 손과 손목의 질환 및 손상을 다루는 진료과로, 상처 치료, 접합술, 결손 보철 등을 수행하여 손 기능의...2024.11.02
-
통합실습 갈등2024.11.261. 간호현장에서 실습하면서 경험한 다학제간 갈등 사례 파악 및 해결방안 1.1. 간호현장에서 경험한 병원의 다양한 직종 간호현장에서 경험한 병원의 다양한 직종은 전문의·전공의·일반의 등의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병리사, 영양사, 기공사, 의료 기사, 조리사, 의무기록사, 방사선사 등의 진료와 진료 지원 기능을 담당하는 인력과 관리직, 사무요원, 기술요원, 기계, 전기, 운전, 의공 등 기능 요원, 고용원, 청소원 등의 보조인력으로 구성된다. 의사는 전문의, 전공의, 일반의 등 다양한 분야의 의사들이 있으며, 간호사와 ...2024.11.26
-
보건의료팀의협력관계2024.11.211. 보건의료팀 협력관계 1.1. 보건의료팀의 구성 1.1.1. 의사 의사는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고 예방하는 일과 손상된 신체를 복구하고 재활시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질병, 장애에 대한 처방, 치료의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의료검사, 시험 및 진단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고 치료의 종류와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내·외과적 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고, 처방된 치료와 건강상의 유의점을 환자에게 알려주며, 투약을 비롯한 각종 치료행위...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