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복음이란 무엇인가, 요약2024.09.191. 복음과 하나님 나라 1.1. 복음의 본질 복음의 본질은 단순히 개인의 구원에 관한 메시지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는 더 큰 메시지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복음이 단지 죄인들의 구원을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이 세상 가운데서 하나님의 통치와 통치의 실현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죽음 그리고 부활을 통해 가능해진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는 메시지이다. 이 하나님 나라는 의와 평화와 기쁨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세워졌다. 따라서 복음은...2024.09.19
-
논어와21세기2024.11.211. 서론 1.1. 논어와 21세기 논어와 21세기의 관계를 살펴보면,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나누었던 대화록인 논어는 2500년의 세월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동양의 정신세계에 깊이 뿌리박혀 있다"" 공자는 세속적인 권력과 명예를 추구하기보다는 인간의 본질적 가치와 도덕성을 강조하였으며, 그의 사상과 철학은 예수, 석가모니와 함께 '세계 4대 성인'으로 불릴 만큼 인류 보편적인 가치관을 제시하였다"" 특히 논어에 담긴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사상은 오늘날 인간관계에 대한 규범과 원칙을 제공하고 있...2024.11.21
-
칼빈성경관2024.11.081. 칼빈과 칼 바르트의 성경관 비교 1.1. 칼빈의 성경관 1.1.1. 성경의 저자 칼빈은 『강요』에서 성경과 하나님에 대한 지식(1.6-9), 성령과 구원에 관계(3.2), 성경의 권위와 영감(4.8)을 말한다. 칼빈에 의하면 성경의 저자는 하나님이시다. 선지자들과 사도들은 성령님의 감동으로 성경을 기록했다. 성경에 인간의 말이 들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경은 성령의 감동으로 된 하나님의 말씀이다. 칼빈은 하나님께서 인간의 언어로 기록하게 하신 것은 조정 이론(accommodation theory)으로 설명한다. 하나님은 우...2024.11.08
-
논어의 인과 예를 통한 삶의 성찰2025.06.141. 서론 인간은 어렸을 때부터 삶의 의미와 존재의 근본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며 성장한다. 이러한 탐구의 과정에서 인간은 철학이라는 학문과 마주하게 되는데, 철학은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다. 철학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지적 반응의 본질이 되어왔으며, 인간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산물이다. 철학은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는 의미에서 볼 때, 인간의 삶과 연계된 모든 대상이 철학의 영역이 된다. 다시 말해, 철학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모든 것의 근본 이유를 탐구하는 ...2025.06.14
-
복음과율법차이2025.05.071. 복음과 율법의 차이 1.1. 률법의 목적 율법의 목적 율법을 주신 목적은 구약 백성을 그것으로 억제하시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얻으리라는 희망을 그가 오시기까지 배양하시려는 것이다. 율법은 그리스도에 대한 갈망을 일으키며 그들의 기대를 강화해서, 오래 지체되더라도 지치지 않게 하시려는 것이었다. 하나님의 제사를 명령하신 목적 또한 지상적인 일로 경배자들을 분주하게 만들려고 하신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을 더 높이 들어 올리시려는 것이었다. 이처럼 율법은 인간의 상태를 얽매고 억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타락...2025.05.07
-
누가복음과 종말지연2025.04.101. 서론 현대 사회는 글로벌화로 인해 개인의 삶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과거에는 자신이 속한 사회와 문화에 적응하면 큰 문제가 없었지만, 오늘날에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면서 상호 이해가 필수적이다. 종교는 인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종교적 문맹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신약성경에서 핵심적인 주제인 하나님 나라와 종말론은 기독교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바울서신, 그리고 일반서신과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하나님 나...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