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개
-
심폐소생술2024.09.121. 심폐소생술 정의 및 원리 1.1. 심폐소생술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사람이 호흡이나 심장박동이 멈추어 맥박이 뛰지 않을 때 인공적인 호흡으로 혈액순환을 도와 인위적으로 몸속에 산소공급을 유지시켜서 사망을 예방하는 응급처치법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뇌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마비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1.2. 심폐소생술의 원리 사람이 죽게 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그 원인 중의 하나인 기도폐쇄나 심정지의 환자도 발생원인을 불문하고 임상적 사망이라는 과정을 거치며 부정맥의 형태를 나타낸다. 심폐소생술은 이...2024.09.12
-
SICU 케이스2024.09.261. 서론 1.1. 연구목적 외과계 중환자실로 실습을 나가면서 수술 후의 환자를 간호하는 모습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다양한 심장, 암질환의 수술을 받은 환자 중에서 우리 친척이 많이 걸렸던 폐렴에 대해 특히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폐렴은 흡연력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요즘은 우리나라의 공기질이 미세먼지로 인해 매우 나빠진 만큼 폐렴이 더 이상은 남의 이야기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때문에 폐렴과 그에 따른 간호에 대한 공부를 더 하고 싶어 폐렴 환자로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문헌고찰 1.2.1. 외상성...2024.09.26
-
모성간호 체액성부족2024.09.111. 임신 및 출산 관련 간호 사례 1.1. 태반 조기 박리와 관련된 체액 부족 위험 태반 조기 박리는 임신 32주 이상에서 발생하는 산과적 응급상황으로, 태반이 정상적인 착상부위에서 분리되어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태반 조기 박리로 인해 태아 및 산모에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중 가장 큰 위험은 산모의 체액 부족이다. 태반 조기 박리가 발생하면 태반에서 혈액이 빠르게 유출되어 산모의 혈액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산모는 심각한 출혈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곧 체액 부족을 야기한다. 체액 부족은 다양한 증상...2024.09.11
-
KTAS 요약2024.09.131. KTAS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1.1. KTAS 정의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는 2012년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도구인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우리나라 의료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개발한 도구이다. KTAS는 단순히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병원 전 단계를 아울러서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개혁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KTAS는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symptom...2024.09.13
-
SICU 실습일지2024.09.241. 실습 성찰일지 1.1. 실습 환경 및 기본간호 수행 SICU 실습 첫날, 실습 환경 및 기본간호 수행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SICU는 SI01~SI09까지 나누어져 있었으며 신경외과, 일반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환자들이 입원해 있었다. 환자들의 morning care로 기본간호를 수행하였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back care가 기억에 남는다. 처음 해보는 간호라 어색했지만 간호사 선생님의 지도로 무리 없이 back care를 보조할 수 있었다. 환자의 체위를 변경하고, 등과 다리의 피부를 사정한 후 필요 시 패...2024.09.24
-
응급실 오심구토2024.09.241. 응급 간호 실습 사례 연구 1.1. 응급실 내원 환자 사정 1.1.1. 대상자 기본정보 수OO은 28세 남성 환자로, 감염내과 진료과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의식 상태는 Alert 상태였으며, 자동차를 이용하여 직접 내원하였다. 내원 날짜와 시간은 2023년 9월 11일 오전 10시였다. 내원 시 활력징후는 BP 110/90, P 110, RR 20, BT 38.3, SpO2 98%였다. 주호소는 발열과 복부 통증이었으며, 상세불명의 말라리아(재발성으로 명시되지 않은) 진단명 또는 의증 하에 내원하였다. 금일 오전 10시...2024.09.24
-
재난간호주관식문제2024.10.071. 서론 1.1. 일산화탄소 중독의 정의 및 심각성 일산화탄소는 산소보다 250배 강력하게 혈색소와 결합하여 혈액 내에서 산소운반 능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일산화탄소 중독은 말 그대로 일산화탄소에 중독된 상태를 의미한다. 일산화탄소가 흡입되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에 산소보다 강하게 결합하여 산소가 각 조직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저산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폐기능 저하, 호흡 기능 장애, 호흡 시 산소량 부족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과거 연탄을 가정...2024.10.07
-
Vsim jennifer hoffman2024.10.221. 환자 정보 1.1. 환자 병력 및 현병력 Jennifer Hoffman는 어린 시절부터 천식을 앓아왔으며, 지난 1년 동안 응급실에 여러 번 방문한 경험이 있다"" 환자의 입원기록에 따르면 Jennifer Hoffman은 33세 여성으로, 이웃에 의해 응급실로 실려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환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하였으며, 간단한 한 단어의 진술 외에 다른 말을 할 수 없는 상태였다. 1.2. 활력징후 및 검사 결과 대상자 Jennifer Hoffman의 활력징후 및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온은 37도로 정상 범위 내에 ...2024.10.22
-
병동 중증도분류2024.11.031. 응급실 실습 사례 1.1. 환자 중증도 분류와 KTAS 응급실로 내원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은 응급실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효과적인 치료 및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중증도 분류 체계가 필요하다.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한국형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도구로, 환자의 통증 정도와 생체징후를 기반으로 중증도를 5단계로 나누어 분류한다. KTAS는 환자의 예후와 긴급도를 함께 고려하여 중증도를 평가한다....2024.11.03
-
gi bleeding icu2024.11.051. 위장관 출혈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위장관 출혈은 출혈이 심할수록 위험도가 높아지며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빠른 진단과 적시의 치료가 중요하다"이다. 이로 인한 사망률 또한 8-10%라고 보고되고 있고 고령이거나 다른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더 높다. 따라서 이에 대한 심각성과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시급해지고 있는 현황이기에 이번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이다. 1.1.2. 문헌고찰 위장관 출혈은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이 손상되어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이다. 상부 위장...202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