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괴사성 근막염2024.10.251. 괴사성 근막염 개요 1.1. 근막(fascia)의 해부생리 근막은 근육의 겉면을 싸고 있는 막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근막은 피부와 근육 사이에 위치하며 온몸에 걸쳐 분포하나 각 부위에 따라서 강도나 두께의 차이가 있다. 근막은 결체조직의 일종으로 근육과 같은 신체 내부의 구조물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발생학적으로는 뼈, 연골, 근육, 피부 등과 함께 중배엽에서 유래한다. 근막의 위쪽으로는 피하지방, 진피, 표피 순으로 덮여 있으며 근막의 아래 쪽은 근육이다. 근막은 이 두 공간 사이에 위치한다. 근막은 이 두 공간...2024.10.25
-
맹장절제술 수술실 케이스2024.08.141. 서 론 1.1. 충수염의 개요 충수염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충수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대부분 충수돌기 개구부가 폐쇄되면서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대의 경우에는 점막 하 림프소포가 지나치게 증식하여 폐쇄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 성인의 경우 대변이 딱딱하게 굳어 덩어리가 된 분석에 의해 폐쇄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충수염의 증상은 복통이 시작되고 식욕부진과 오심, 구토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국소적으로 압통과 발열이 시작되고 장폐색 증상, 복막...2024.08.14
-
EDH 문헌고찰2024.12.251. 서론 1.1. 정의 경막외 출혈은 낙상, 교통사고, 폭행 등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과 함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혈관이 파열되어 두부손상 후 두개골과 경막사이인 경막 외공간에 혈종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심한 두부손상의 약 10%에서 발생되며 기저골절과 측두개골 골절을 동반한다. 대부분 중뇌막동맥의 열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혈종이 빠르게 형성된다. 몇시간 내에 혈종이 형성되어 두개내압 상승 징후를 보이므로 외과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천막 탈출이 일어나 호흡정지에서 사망까지 이르게 된다. 1.2. 원인 및...2024.12.25
-
컨셉맵2025.03.171. 서론 대동맥 박리는 대동맥 혈관 내부가 파열되어 대동맥 혈관벽이 찢어지는 질환이다. 이는 고혈압, 마르판 증후군, 외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대동맥 박리 환자는 갑작스러운 가슴통증, 실신, 숨참, 구토 등의 증상을 경험하며, 신속한 진단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마르판 증후군과 같은 결체조직 질환과 관련이 있어 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대동맥 박리 환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병태생리, 검사 결과, 간호 문제와 진단, 간호 계획 및 수행, 평가 등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대동맥 박리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