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의료기관 이송 보고서2024.09.111. 응급처치 관리 연수 계획 1.1. 목적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응급처치 및 후송체계를 확보하여 응급증상을 보이는 유아에 대해 적기에 적정 수준의 응급의료를 제공하는 것이 이 계획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유아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증상의 현저한 악화를 방지하여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1.2. 관련근거 관련근거는 학교보건법 제9조의 2(보건교육등)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8조(응급환자에 대한 우선 응급의료 등) 및 제11조(응급환자의 이송)이다. 먼저 학교보건법 제9조의 2에 따르면 유치원의 장은 교육부령으로 정하...2024.09.11
-
성인간호실습 응급실 사전학습2024.10.051. 의학용어 및 약어 1.1. 약어 용어와 의미 AAA는 'Abdominal aortic aneurysm'의 약어로, "복부 대동맥류"를 의미한다" ACLS는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의 약어로, "전문심장소생술"을 의미한다" ACS는 'Acute coronary syndrome'의 약어로, "급성 관동맥 증후군"을 의미한다" ADI는 'Acute drug intoxication'의 약어로, "급성약물중독"을 의미한다" AED는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2024.10.05
-
응급환자의 사정내용 정리2024.10.051. 간호사정 1.1. 간호사정의 정의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이란 간호과정의 첫 단계로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료수집, 타당화, 대상자 자료에 대한 의사소통과정을 말한다. 간호사정에서 대상자의 활동과 운동과 관련된 사정은 일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간호기록과 신체검사기록, 걸음걸이, 외모와 관절의 움직임, 운동능력과 제한, 근육의 양과 힘, 지구력, 부동과 관련된 문제 그리고 육체적 피로를 포함해야 한다. 간호사는 이러한 정보들을 간호대상자, 보호자, 다른 간호사 및 기록으로부터 수집하며 주관적 자료(대상자로...2024.10.05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2024.11.071.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1.1. 법률 개요 및 용어 정의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은 국민들이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그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책임, 응급의료제공자의 책임과 권리를 정하고 응급의료자원의 효율적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응급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국민의료를 적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다. 이 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다. "응급환자"란 질병, 분만, 각종 사고 및 재해로 인한 부상이나 그 밖의 위급한 상태로 인하여...2024.11.07
-
환자1차평가2024.11.051. 응급환자 사정 1.1. 개요 1.1.1. 시진, 촉진, 청진, 문진을 통한 정보 수집 시진, 촉진, 청진, 문진을 통한 정보 수집은 응급환자 사정의 기본적인 방법이다. 시진은 환자의 신체 특정 부위를 관찰하여 색깔, 윤곽, 대칭 여부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청진은 청진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호흡음이나 심장소리 등을 듣는 것이다. 촉진은 손으로 만지고 느껴서 조직의 특성, 압통 유무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진은 환자나 보호자와의 질문을 통해 병력을 조사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정보 수집 방법을...2024.11.05
-
임상병리사 성장과정2024.09.051. 간호학 개론 1.1. 13개 분야 전문직 간호사 가정전문간호사는 환자가 있는 가정에 방문하여 가족, 돌봄 제공자, 사회경제적 요구를 파악한 후 가정간호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며, 환자의 특성과 요구에 맞추어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거나 주치의가 의뢰한 치료적 간호를 수행한다. 감염관리전문간호사는 병원 내 감염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감염 여부를 조사하고 예방계획을 수립·실시하며 감염관리 규정, 지침, 정책 등을 마련한다. 노인전문간호사는 노인전문병원, 의료복지기관, 요양원 등에서 노인의 건강관리를 평가하고 질병회복, 질병예방,...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