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낙상예방2024.08.281. 낙상이란? 1.1. 정의 낙상의 정의는 "외적인 충격 없이 어느 순간 균형이나 안정성을 잃으면서 신체의 일부분이 바닥에 닿는 것, 즉 단순히 넘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WHO(세계보건기구)의 정의에 따르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면에 접지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낙상은 주요한 내인성 사고나 위험한 사고의 결과가 아닌, 안정 상태에서 바닥이나 낮은 곳으로 비의도적으로 발생되는 사고로 서 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뜻한다. 1.2. 원인 1.2.1. 내적 ...2024.08.28
-
직업병 온열질환2024.08.3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는 과거에 비해 폭염과 열대야 발생 빈도가 상승 경향에 있지만, 최근 10년은 폭염 14.0일, 열대야 9.0일로 발생 빈도가 많이 상승하고 있다. 평균 폭염은 10.1일, 열대야 5.7일 발생하며, 특히 8월(폭염 5.4일/열대야 3.1일)과 7월(폭염 3.9일/열대야 2.4일)에 자주 발생하였고 폭염과 열대야의 상관성은 매우 높으며, 7~8월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폭염의 증가로 인해 온열질환자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에...2024.08.30
-
과학실험 사고 사례 및 안전 대책2025.03.111. 서론 1.1. 과학 실험에 대한 안전성 문제의 중요성 과학 실험에 대한 안전성 문제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과학 실험은 학생들의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인 활동이지만, 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는 학생들의 생명과 신체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 실험을 하는 학생들은 위험한 물질이나 장비를 다루게 되므로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실험실의 안전 시설 미비, 교사의 안전 관리 소홀 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학생들에게 심각한 상해나 후유증...2025.03.11
-
이대목동병원 감염2024.09.211.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감염 및 사망 사건 1.1. 사건 개요 2017년 12월 16일 이화여자대학교목동병원(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신생아 4명이 잇달아 심정지로 사망한 사건이다. 신생아들은 상온에 방치되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Citrobacter freundii)에 오염된 주사 영양제를 맞고 패혈증으로 사망했다. 이 날 저녁 약 1시간 30분 동안 중환자실에 입원하고 있던 4명의 신생아가 심정지로 사망한 것이다. 환아들은 상온에 보관된 영양제를 투여받다 패혈증으로 사망하게 되었는데, 지질영양제 'SMOFlipi...2024.09.21
-
응급환자 시뮬레이션 사례2024.09.211. 뇌졸중 전조증상으로 쓰러진 케어대상자 응급조치 상황 시뮬레이션 1.1. 서론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많은 사람들이 겪는 심각한 질병 중 하나이다. 특히 전조증상으로 쓰러지는 환자들의 경우 신속한 응급조치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료진은 높은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대처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을 시뮬레이션으로 연습하고 훈련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실제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2024.09.21
-
산업안전보건법중안전보건관리규정과안전보건의중요성과법적내용과개인의대책2025.04.261. 서론 산업 현장에서 안전과 보건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고, 부상, 사고, 예방, 근로자 건강보호 되어 다양한 측면에서 관리되면 생산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안전보건관리를 위한 규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안전보건교육의 중요성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가 없을 만큼 명확하다. 산업안전보건법의 안전보건관리 규정과 안전보건교육의 중요성을 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산업안전보건법 중 안전보건관리규정 2.1. 위험요소 평가 및 관리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효과적...2025.04.26
-
의무기록사의 병원 내 감염관리와 의무기록의 역할2025.04.121. 서론 1.1. 의무기록사의 병원 내 감염관리와 의무기록의 역할 의무기록사의 병원 내 감염관리와 의무기록의 역할이다. 의무기록사는 병원 내 감염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첫째, 병원 내 감염 발생 시 의무기록을 통해 감염 경로와 환자의 치료 경과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의무기록 정보를 바탕으로 감염 통계를 생성하여 감염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의무기록에 기록된 감염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의료진에게 감염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의무기록 정보를 활용하여 감염 발생 위험...2025.04.12
-
병원에서 MSDS관리2024.08.301. 위험물질 관리 규정 1.1. 목적 병원에서 취급하는 의료폐기물, 방사성물질, 유해물질(이하 위험물질이라 한다)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 재해를 예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1.2. 용어의 정의 위험물질이란 의료기관에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물질(예: 유해 화학물질, 의료폐기물, 방사선물질 등)을 의미한다. 유해화학물질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에 의거, 산업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7)에 따른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말한다. 또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