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9개
-
응급실 간호사 119구급대2024.08.311. 응급의료체계 1.1. 응급의료의 개요 1.1.1. 정의 응급의료란 응급환자가 발생한 때부터 생명의 위험에서 회복되거나 심신상의 중대한 위해가 제거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응급환자를 위하여 행하는 상담·구조(救助)·이송·응급처치 및 진료 등의 조치행위 등을 말한다. 즉, 응급의료체계는 적정규모의 지역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력, 시설, 장비를 유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재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1.1.2.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는 '병원 전 단계'와 '병원 단계'...2024.08.31
-
응급처치의 및 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에2024.12.141. 국내 응급의료체계 1.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1.1.1. 병원 전 단계 병원 전 단계(pre-hospital phase)는 응급환자의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환자의 상태에 따른 구급차 출동, 현장처치, 환자이송 등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신고체계, 이송병원 선정을 위한 의료정보 관리체계,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처치체계가 필수적이다. 응급환자 발생 시 먼저 환자발생의 신고(119)와 구급차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심박동의 회복을 위해 심정지가 발생한 초기 몇 분 내에...2024.12.14
-
한국의료시스템2024.08.141. 서론 1.1. 의료시스템 비교의 필요성 의료시스템 비교의 필요성은 다양한 관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째, 국가 간 의료시스템 비교를 통해 각국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자국의 의료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국가 간 의료시스템 격차를 줄여 모든 국민들이 적정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셋째, 의료관광, 국경을 넘나드는 환자 이동 등 의료 분야의 국제화가 확대됨에 따라 국가 간 의료시스템 이해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넷째, 기술 혁신과 인구 고령화로 인해 각국의 의료비 부...2024.08.14
-
중앙의료원 응급구조사2024.08.131. 응급의료체계와 구성요소 1.1. 병원전 구성요소 병원전 구성요소에는 심폐소생술을 훈련받은 일반인, 최초 반응자, 응급 의료 전문요원, 전문 응급구조사 등이 포함된다"." 일반인은 경찰관, 소방관 또는 공인된 최초반응자 프로그램에서 기본응급의료교육을 받은 사람들을 말한다"." 최초 반응자의 역할은 응급구조사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를 안정시키는 것이며, 심폐소생술, 기본적인 기도유지, 그 외의 기본적인 시술들을 수행한다"." 응급 의료 전문요원과 전문 응급구조사는 환자의 상태를 빨리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제공하여 환자의 생명을 ...2024.08.13
-
심폐소생술지표2025.02.131. 서 론 사회구조의 변화, 인구고령화, 생활수준과 건강에 대한 의식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응급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응급의료체계는 관련된 여러 분야가 유기적으로 결합해서 효과적으로 기능을 하지 않으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응급의료체계가 한 나라의 의료수준을 가늠하는 지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응급의료체계는 병원 전 단계, 이송단계, 병원단계, 통신체계로 구성되는데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슴압박소생술, 심실세동과 무수...2025.02.13
-
응급구조사1급2024.09.071. 응급의료체계 1.1. 개념 응급의료체계는 적정규모 지역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인력, 시설, 장비를 유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재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현장에서 적절한 처치를 시행한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환자를 치료에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하고, 짧은 시간에 최상의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출동 및 처치팀과 병원 응급의료팀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및 활동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의 신고 ...2024.09.07
-
심폐소생술 교육자료2024.08.271. 성인의 기본심폐소생술(BLS) 1.1. 반응 확인 의식 확인은 환자의 반응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이다. 응급 상황에서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하면 먼저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면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라고 큰 소리로 말해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주변 사람에게 큰 목소리로 119에 신고할 것을 요청하고 자동제세동기(AED)를 가져오도록 지시해야 한다. 의식 확인 단계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심정지 환...2024.08.27
-
응급간호란2024.09.02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및 개선 1.1. 응급의료체계 구성 1.1.1. 응급의료인력 및 업무 응급의료인력은 크게 응급의료 현장에서 직접적인 응급처치를 담당하는 인력과 병원 단계에서 응급 환자 진료 및 관리를 담당하는 인력으로 구분된다. 현장에서 직접적인 응급처치를 담당하는 인력에는 최초반응자, 응급구조사(1급, 2급)가 있다. 최초반응자는 현장에서 119 신고, 기도 확보, 인공호흡, 가슴압박 등의 일차적인 응급처치를 수행한다. 응급구조사(1급)는 신고 접수 및 전화 상담, 현장 처치, 이송 업무를 담당한다. 응급구조사...2024.09.02
-
bls정리2025.01.231. BLS(Basic Life Support) 정리 1.1. 기본심폐소생술의 목적 기본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폐정지 중에 필수장기(뇌, 심장)로의 산소 및 혈액 공급을 유지하여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자발적 순환 및 자발적 호흡을 회복하기 위함이며, 일반인이라도 할 수 있는 응급처치이고, 응급으로 산소를 공급하면서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을 보조하며 인공호흡을 실시함으로써 폐에 산소를 공급한다. 순환보조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맥박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심압박으로 인공적 순환을 유지하면서 뇌에 혈액을...2025.01.23
-
bls정리2025.01.231. BLS(기본소생술) 정리 1.1. 생존사슬(chain of survival)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면 목격자가 신속하게 심정지임을 인식하고 응급의료체계에 연락해야 한다. 목격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여 심정지 시간을 단축시켜야 한다. 심정지 발생을 연락받은 응급의료체계는 신속히 환자발생 현장에 도착하여 제세동 등의 전문 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전문 소생술로 자발순환이 회복된 이후에는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심정지 후 치료를 해야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병원 밖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