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KTAS2024.09.131.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 1.1. KTAS의 개념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도구이다. 환자의 첫 인상을 평가한 후 감염 여부에 대한 기본적인 문진과 진찰을 시행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1차 고려사항과 증상에 따라 특별히 적용해야 할 2차 고려사항으로 환자의 중증도와 긴급도를 결정한다. KTAS는 2012년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도구인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2024.09.13
-
bls정리2025.01.231. BLS(기본소생술) 정리 1.1. 생존사슬(chain of survival)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면 목격자가 신속하게 심정지임을 인식하고 응급의료체계에 연락해야 한다. 목격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여 심정지 시간을 단축시켜야 한다. 심정지 발생을 연락받은 응급의료체계는 신속히 환자발생 현장에 도착하여 제세동 등의 전문 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전문 소생술로 자발순환이 회복된 이후에는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심정지 후 치료를 해야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병원 밖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2025.01.23
-
간호사 국가고시 법규2025.01.231. 서론 간호사는 의료법에 따라 정의된 의료인으로,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진료의 보조,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 기획과 수행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간호사 국가고시는 보건복지부장관이 매년 실시하는 것으로, 간호대학 졸업 등 일정한 요건을 갖추고 시험에 합격한 자에게 면허가 발급된다. 간호사 면허 취득 및 관리에 관한 규정과 더불어 간호사가 종사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사항, 의료행위 및 의료관련 감염 예방에 관한 사항 등이 의료법과 관련 법규에 규정되어...2025.01.23
-
2025 법규2025.01.221. 서론 1.1. 의료법의 목적과 주요 내용 의료법의 목적은 국민이 수준 높은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의료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국민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의료법은 의료인의 자격과 면허, 의료기관의 종류와 특성, 의료인과 의료기관의 권리와 의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의료법상 간호사는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진료의 보조,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 기획과 수행, 그 밖의 보건활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의료기관 개설은...2025.01.22
-
보건의료법규 요약2024.09.091. 보건의료기본법 1.1. 목적 보건의료기본법 제1조(목적)에 따르면, 이 법은 "보건의료에 관한 국민의 권리ㆍ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규정하고 보건의료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보건의료의 발전과 국민의 보건 및 복지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보건의료기본법은 국민의 보건의료권리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명시하고, 보건의료 수요와 공급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정하여 국민의 보건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2. 기본이념 보건의료기본법...2024.09.09
-
응급의료기관평가2025.03.141. 서론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 이후의 산업화 정책에 따른 도시화, 공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크고 작은 각종 사고의 발생과 함께 응급환자 발생 건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구의 노령화 및 식생활 습관 등으로 뇌혈관질환 등 신속한 처치를 요하는 질환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어, 이에 따라 증가하는 응급의료요구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응급의료체계는 국민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중요한 사회적 안전장치이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의료공급확대와 전국민의료보험 실시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의료...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