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한양대 족보2024.09.221. 의료용어 지식 습득 1.1. 직장튜브 삽관 직장튜브 삽관은 기도를 확보하고 환기를 원활히 하기 위해 필요한 시술이다. 환자의 체위는 왼쪽 sim's 체위를 취하게 하는데, 이는 중력에 의해 튜브를 통한 용액이 하행결장으로 잘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튜브 삽관 시에는 윤활제를 바르고 삽관 깊이는 코에서 귓불까지의 길이와 귓불에서 검상돌기까지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한다. 삽관 후에는 튜브의 끝부분을 물이 담긴 용기에 넣어 위액을 흡인한 뒤 공기를 주입하여 상복부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하여 튜브의 위치를 확인한다....2024.09.22
-
울산대학교 간호대학원2024.09.301. 전문간호사란 1.1. 전문간호사의 정의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란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증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 해당 분야에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로 간호대상자에게 상급 수준의 전문가적 간호를 제공한다." 1.2. 전문간호사의 역할 전문간호사의 역할은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자, 교육자, 연구자, 지도자, 자문가, 협동자의 6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자로서 대상자에게 상급 수준의 전문적 간호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신속히 파악하고 정확한 진단...2024.09.30
-
응급실 방광암 쇠력감2024.10.1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졸중은 신경 질환으로는 가장 많고, 신경 장애자 중에도 뇌졸중이 가장 많으며 일반 장애를 발생시키는 두 번째 원인이 되고 있다. 뇌졸중 인구는 약 2,000만 명이며, 이들 중 약 3%는 40세 미만이며 약 70%는 어느 정도의 기능장애가 있어, 운동성과 자립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다. 뇌졸중은 응급실에서 다빈도 질환에 해당하며 빠른 응급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장애를 초래하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와 간호가 중요하므로,...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