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선릉 발음2024.10.28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고는 한국어의 수의적 음운 현상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한국어 발음교육에서 교육할 필요가 있는 수의적 음운현상의 항목과 교수 방법까지 제시하고자 한다. 음운론에서 말하는 수의적 현상이란 일반적으로 동일한 음운론적 환경에서 어떠한 규칙이 적용되기도 하고 적용되지 않기도 하여 나타나는 것을 이른다. 수의적 현상은 음운론의 규칙에 벗어나는 현상으로 수의적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동일한 조건 환경을 갖추었더라도 규칙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 반...2024.10.28
-
구개음화2024.10.101. 구개음화 1.1. 구개음화의 정의와 특성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ㄷ, ㅌ'이 'ㅣ'모음이나 반모음'[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함께 쓰이면 구개음인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그러나 이는 협의적인 정의로, 원래 구개음화는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특정 조건 아래에서 경구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가리킨다"" 즉, 국어사에서의 구개음화는 모음 i, y 앞에서 'ㄷ, ㅌ, ㄸ'이 'ㅈ, ㅊ, ㅉ'이 되는 현상 이외에도 'ㄱ, ㅋ, ㄲ'이 모음 i, y 앞에서 'ㅈ, ㅊ, ㅉ'이 되는 현상, 'ㅎ'이 모음 i, y 앞...2024.10.10
-
순경음비읍2025.01.051. 서론 1.1. 국어의 변화와 문자의 변천 국어는 아득한 옛날부터 배달 겨레가 의사 소통과 문화 창조를 위해 사용해 오는 동안 음운, 어휘, 문법, 표기 등 국어의 전 분야에 걸쳐 끊임없는 변화를 겪으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훈민정음(한글)이 창제된 지 552년이 되었고, 반포한 지 549년이 되었다. 훈민정음 당시의 엄격했던 표기 원칙이 차츰 문란해져 오다가 1933년에야 현대 맞춤법이 정리되었으며 오늘날과 같은 국어 표기법의 기본 체계가 갖추어졌다. 현대 맞춤법은 크게 보아 소리대로의 적기와 형태소 중심의 적기, 이 두 가지...2025.01.05
-
ㄷ불규칙 교육법2024.12.131. 한국어 발음과 교육 1.1. 경음화 현상의 이해 1.1.1. 경음화의 발생과 유형 경음화의 발생과 유형은 다음과 같다. 현대 국어를 발음할 때 성대의 상태에 따라 평음(ㅂ, ㄷ, ㄱ, ㅅ, ㅈ), 격음(ㅍ, ㅌ, ㅋ, ㅊ), 경음(ㅃ, ㄸ, ㄲ, ㅆ, ㅉ)으로 구분된다. 평음은 목구멍이 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음하는 것이며, 격음은 목구멍을 크게 열어 숨을 최대한 많이 내보내면서 발음하는 것이다. 한편 후두 근육을 긴장시켜 목구멍을 폐쇄하여 발음하는 경음은 목에 힘을 주었다가 터뜨리는 소리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경음...2024.12.13
-
한국어 교육 실습 교안: 피동형 아지다2024.12.161. 통사적 피동표현 '-아지다' 1.1. 통사적 피동표현의 개념 통사적 피동표현의 개념이란 대부분 형용사에 붙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떤 상태가 되어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표현방법이다. 이는 주어의 상태나 성질이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어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하는 문법적 표현이다. 구체적으로 가정 형편이 좋아지고 있음, 한국어 실력이 좋아지고 있음, 화장품 가격이 점점 비싸지고 있음, 연말이 다가오면서 점점 바빠지고 있음 등의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통사적 피동표현은 주어가 어떤 상태에 이르는 과정...2024.12.16
-
언어의 변화2024.10.301. 언어 변화의 유형과 특징 1.1. 음운 변화 1.1.1. 소리 체계의 변화 소리 체계의 변화는 언어의 발전과 함께 끊임없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우리말은 수세에 걸쳐 자음과 모음의 발음, 발음 체계 등이 변화하면서 발전해왔다. 우선, 고대 한글의 한자 발음 표기인 'ㅿ'가 'ㄹ'로 대체되는 것은 음운 변화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의 발전과 함께 자연스럽게 일어났으며, 한글의 발음 체계에 더욱 적합한 소리 체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중세 한국어에서는 현대 한국어와는 다른 모음 발음이 사용...2024.10.30
-
구어와 문어의 언어적 특성2024.11.271. 구어의 정의 및 중요성 1.1. 구어의 정의 구어는 "문장에서만 쓰는 특별한 말이 아닌, 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로 정의된다"" 구어는 즉흥적으로 사용되고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언어 형태로, 문어와 대조되는 개념이다. 문어가 주로 글로 표현되고 체계적인 구조를 갖춘다면, 구어는 비공식적이고, 유연하며, 일상적인 대화에서 즉흥적으로 사용되는 특징을 가진다"" 1.2. 구어의 중요성 구어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문어와 달리 비공식적이고 생동감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구어는 말하는 이와 듣...2024.11.27
-
자음 체계의 변천2025.01.091. 서론 1.1. 자음 체계의 변천 고대국어의 자음체계는 제자 원리에 따라 상형 기본자와 가획자, 이체자로 이루어져 있었다. 기본자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상형하여 만들었고, 가획자는 기본자에 획을 더해 소리의 약하고 강함을 나타냈다. 이체자로는 ㆁ, ㄹ, ㅿ 등이 있었다. 이러한 17초성 체계에 전탁자 6자를 더해 동국정운 23자음 체계를 만들었다. 중세국어의 자음 체계는 22개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양순음, 치조음, 설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등 7개 계열의 자음이 사용되었고, 된소리 계열 자음도 등장했...2025.01.09
-
한국어어문규범 사이시옷2024.12.181. 사이시옷과 사잇소리 현상 1.1. 사이시옷의 의미 사이시옷은 두 개의 형태소나 단어가 만나 합성어를 이룰 때, 특정한 음운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에 그 음운 변동을 표기에 반영한 부호이다.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경우는 주로 두 단어가 결합할 때 첫 번째 단어의 끝소리나 두 번째 단어의 첫소리가 변하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이다. 즉, 합성어를 만들면서 두 단어 사이에 새로운 소리가 첨가되는 것을 사이시옷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사이시옷은 중세국어에서 격조사 '-의'의 축약형인 '-ㅅ'이 합성어 형성과정에서 남아 있는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