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영어발음의 원리2024.09.111. 구강음의 생성 1.1. 구강 내 구조 입안의 구조는 복잡하지만 구강음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폐에서 올라온 공기는 후두의 성대를 통과하여 인두(목구멍)로 이어지며, 이 공기는 다시 입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입안에는 경구개(hard palate)와 연구개(soft palate)라는 두 부분이 있다. 경구개는 딱딱한 부분으로 앞쪽에 위치하며, 연구개는 부드러운 입천장의 뒷부분이다. 연구개 끝에는 목젖(uvula)이 달려 있다. 연구개가 내려오면 비강(코 속)과 구강(입 속)이 분리되어 공...2024.09.11
-
변별적 자질2024.09.251. 변별적 자질의 개념 1.1. 변별적 자질의 정의 변별적 자질이란 "소리(음소)가 가지고 있는 여러 특징들 가운데 음들을 서로 구별시켜주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ㄱ'과 'ㅋ'을 구별시켜 주는 유기성, 'ㄴ'과 'ㄷ'을 구별시켜 주는 비음성 등이 변별적 자질의 한 예이다. 이러한 변별적 자질은 음소를 이루는 음성적 특징을 바탕으로 음소를 더 작게 쪼개어 표시한 단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1.2. 변별적 자질의 특성 변별적 자질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별적 자질은 "소리를 구분해 준다"는 ...2024.09.25
-
영어발음의 원리2024.10.311. 구강음 발음 1.1. 구강음의 생성 원리 공기가 성문을 지나서 인두(pharynx,후두 바로 위)를 통과하면 인두에서 비강(nasa cavity,코)과 구강(oral cavity,입)의 두 갈래 길로 나뉘게 된다. 입안의 부드러운 입천장인 연구개(soft palate)가 인두강벽을 막아서 공기가 입으로 배출되면 이 소리를 구강음(oral sound)이라고 한다. 이때 구강을 통과하는 공기가 마찰이나 막힘의 방해를 받으며 내는 소리를 자음(consonant)이라하고, 방해 없이 공기가 구강을 자유롭게 빠져나가며 생성되는 소리를...2024.10.31
-
영어발음의원리2024.10.141. 구강음의 생성 1.1. 구강 내 구조와 기능 입안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공기가 성문을 지나서 인두(pharynx,후두 바로 위)를 통과하면 인두에서 비강(nasa cavity,코)과 구강(oral cavity,입)의 두 갈래 길로 나뉘게 된다. 입안의 부드러운 입천장인 연구개(soft palate)가 인두강벽을 막아서 공기가 입으로 배출되면 이 소리를 구강음(oral sound)이라고 한다. 이때 구강을 통과하는 공기가 마찰이나 막힘의 방해를 받으며 내는 소리를 자음(consonant)이라하고, 방해 없이 공기가 구...2024.10.14
-
영어발음원리2024.10.141. 구강음의 발생 원리 1.1. 입 안의 구조 입 안의 구조는 구강음이 어떻게 조음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공기가 성문을 지나 인두(후두 바로 위)를 통과하면 인두에서 비강(코)과 구강(입)의 두 갈래 길로 나뉘게 된다. 이 때 입 안의 부드러운 입천장인 연구개(soft palate)가 인두강벽을 막아서 공기가 입으로 배출되면 이 소리를 구강음(oral sound)이라고 한다. 즉, 연구개가 인두강을 막아 공기가 비강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구강으로만 배출되도록 하여 구강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1.2. 연구개와 인두강...2024.10.14
-
변이음2024.08.211. 서론 1.1. 음성과 음소의 개념 음성과 음소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음성은 발화된 말소리의 구체적인 실현형태이다. 음성은 변별적 기능을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실제로 사용되는 말소리의 낱덩이로서 구체적인 소리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음성들은 무한하게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다. 반면 음소는 언어에서 최소의 변별단위로, 의미를 구분할 수 있는 소리의 단위이다. 음소는 추상적인 단위로, 구체적인 음성들의 묶음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동일한 음소에 속하는 여러 가지 음성들을 하나의 범주로 묶어 놓은...2024.08.21
-
음운인식 프로그램2024.11.211. 문해력에 대한 이해 및 균형적 접근법의 중요성 1.1. 문해력에 대한 이해 문해력은 과거 단순히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되었으나, 현대에는 그 의미가 보다 확장되어 타인이 쓴 글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오늘날을 살아가는 많은 아동들은 어린 시기부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있어, 글을 읽는 것보다 영상을 보는 데 더 익숙해져 있다. 이로 인해 일상 언어의 사용이 줄어들고 문장 구성 능력이 저하되는 등 문해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2024.11.21
-
한국어음운론 – 자음의 변별적 자질과 모음의 변별적 자질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각각의 예시를 찾아서 음소를 분류하시오2024.09.031. 변별적 자질의 개념 1.1. 변별적 자질의 정의 변별적 자질이란 "소리(음소)가 가지고 있는 여러 특징들 가운데 음들을 서로 구별 시켜주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음운론에서의 자질은 음소(음운)보다 더 작은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음소를 구성하는 음성적 특징을 바탕으로 음소를 더 작게 쪼개어 표시한 단위를 말한다"". 변별'이란 비교 대상이 되는 A와 B가 다르다는 것을 구별하는 것이고, '자질'이란 그것들의 특성을 말한다"". 즉, 변별적 자질이란 소리의 음향적, 청각적 특성에 기반하여 음소들을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2024.09.03
-
영어음성음운론2024.09.081. 음운론의 이해 1.1. 음운론의 정의와 목적 음운론은 언어학의 중요한 하위 분야로, 개별 언어나 여러 언어의 소리 체계에 대해 심도 깊게 탐구하는 학문이다. 음운론은 의사소통의 수단인 언어를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소리와 발음에 관련된 학문이다. 음운론의 목적은 말소리가 어떻게 실현되고 왜 그렇게 실현되는지를 연구하여 언어의 "말소리"와 관련된 다양한 약속을 다루는 것이다. 즉, 음운론은 단순한 소리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넘어서 그 소리들이 언어 체계 내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의미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목...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