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민중교육의 개념과 사례, 의의와 한계2024.10.221. 프레이리와 프레네의 교육사상 비교 1.1. 프레이리의 교육사상 1.1.1. 은행예금식 교육의 한계 및 문제제기식 교육의 등장 일반적으로 학교 안팎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설교적이다. 교사를 설교자로 만들어 학생들로 하여금 설교된 내용을 기계적으로 암기하게 만드는 설교식 교육은 학생들이 예탁소가 되고 교사가 예탁자가 되는 예탁행위가 된다. 의사소통 대신에 교사라 여러 가지 코뮤니케를 발표하고 '예탁금을 만들면' 학생들은 참을성 있게 받아들여 기억하고 반복한다. 이것이 바로 은행 예금식 교육 baking conce...2024.10.22
-
포스트모던철학2024.10.211. 철학에서의 진리관 1.1. 전통철학의 진리관 전통철학의 진리관에 따르면, 세계나 사물의 의미는 이미 신이나 자연이 결정해 놓은 사항이다. 따라서 진리, 합리성, 선악, 이성 등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이 이 세상에 존재한다고 믿는다. 전통철학에서는 인간이 순수하고 불변적인 존재이며, 자신의 이성이나 감성을 통해 이러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발견해 나아가며 성장하게 된다. 인간이 가진 이성이나 감각 등은 있는 그대로의 사실이나 이미 결정되어 주어진 의미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비추어주는 자연의 거울에 해당한다. 즉, 전통철...2024.10.21
-
파울루 프레이리 독후감2024.10.261. 소개 들어가는 말 파울루 프레이리의 『페다고지』는 사회정의와 그 변혁을 위한 민중들의 의식화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저작이다. 이 책은 1970년대부터 1987년 6월 항쟁 이전까지 우리나라에서 지하운동을 하던 노동자들의 노동운동, 교사들의 교육운동, 대학생들의 학생운동 등에서 의식화 교재로 널리 읽혔다. 이는 당시 우리의 노동현실과 교육현실이 억압적이었음을 보여준다. 현재 우리나라는 민주주의 사상 아래에서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누리고 있지만, 여전히 계급갈등, 경제적 양극화, 교육의 불평등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존재한...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