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시 감상평2024.10.311. 한국한문학의 이해 1.1.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 1.1.1. 고체시 고체시(古體詩)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시의 양식으로, 근체시(近體詩)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고체시는 형식의 제약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특징이 있다. 고체시에는 오언고시(五言古詩)와 칠언고시(七言古詩) 등이 있다. 고시라는 말은 육조 시대(六朝時代)에는 그 시대 이전의 고대의 시를 가리키는 것이었지만, 당대(唐代)에 이르러 근체시가 일어난 이후부터는 근체시에 대한 고대의 시, 즉 태고 때부터 수대(隋代)에 이르는 모든 시를 뜻하게 되었다. 고체시는...2024.10.31
-
생활한문2024.11.051. 한자의 부수와 의미 1.1. 부수의 의미 구분 및 관련 한자 찾기 부수란 복합한자에 구성요소로 들어가는 한자의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한자의 기본적인 형태와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이러한 부수는 한자의 부호 역할을 하고 있다. 부수의 의미를 구분하고 그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는 것은 한자 학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첫 번째로, '尸/戶' 부수를 살펴보면 '尸'는 주검, 시체를 뜻하며 '戶'는 문, 집을 뜻한다. 이 부수들이 포함된 한자로는 '屍(주검 시)', '居(살 거)' 등이 있다. 두 번째로, '厂/广' 부수...202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