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0개
-
핵심술기시나리오2024.11.061. 제왕절개 수술 전 간호 1.1. 환자 정보 이OO씨는 29세 여성으로 preg. 38wks+3일, 초산부이며 과거력은 없다. 환자는 아두골반 불균형으로 7월 14일 제왕절개를 하기 위해 7월 13일에 입원하였다. 1.2. 상황 7월 14일 오후 2시경 제왕절개 수술 전 방광 팽만과 소변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유치 도뇨관 삽입과 수술 시 실혈에 대비하여 혈액검사가 나갔으며 이에 따른 수혈요법에 대해서도 같이 설명할 예정이다. 1.3. 준비 물품 준비 물품은 의료장비 및 물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액제제 백, 소독솜, ...2024.11.06
-
기본간호학 체온유지문제2024.10.131. 배뇨 1.1.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의 소변 주머니 관리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는 환자가 검사실을 가려고 할 때, 간호사는 환자의 소변주머니를 방광위치보다 낮게 유지해야 한다. 이는 도뇨관과 연결관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소변주머니를 방광위치보다 낮게 유지하면 소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도뇨관과 연결관의 감염을 예방하고 도뇨관과 연결관의 꼬임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도뇨관 말단의 풍선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의 소변주머니를 방광위치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은 도뇨관과...2024.10.13
-
배뇨장애간호진단2024.11.241. 배뇨장애 간호과정 1.1. 유치도뇨관 제거와 관련된 배뇨장애 유치도뇨관 제거와 관련된 배뇨장애는 유치도뇨관 제거 후 배뇨곤란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는 주로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나타나는데, 장기간 유치도뇨관 사용으로 인해 방광근 이완, 요도괄약근 기능 저하, 배뇨반사 저하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간호사정 시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로는 "오전 8시에 소변 500ml 본 이후로 소변을 못 봤어요."와 같은 배뇨곤란 호소가 있으며, 객관적 자료로는 Foley catheter 제거 후 자가 배뇨가 되지 않고 하복부 불편...2024.11.24
-
장기간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요정체2024.11.121.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1.1. 유치도뇨관 감염 위험성 개요 유치도뇨관 삽입은 입원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배뇨 관리 방법이지만, 이로 인해 요로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유치도뇨관 삽입은 요도를 통해 방광 내로 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도뇨관은 요도를 통해 외부 세균이 침입할 수 있는 통로가 되어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 유치도뇨관 삽입으로 인한 요로감염은 병원감염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로, 전체 병원감염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2024.11.12
-
요로감염 case study2025.02.241. 서론 1.1. 요로감염의 정의 및 중요성 요로는 콩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된 비뇨기계이며, 요로감염은 이 중 한 부분에 세균이 감염되는 것을 의미한다. 요로감염은 입원환자의 약 3%에서 발생하며, 전체 병원감염의 35~4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병원감염이다. 요로감염은 다른 균과 복합적으로 일어날 경우 치명적일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간호사는 요로계 환자의 건강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요로감염의 특성과 다양한 증상을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2025.02.24
-
요로감염 현문사 20222025.02.241. 요로감염 현문사 2022 1.1. 간호력 1.1.1. 입원 시 정보 다음은 입원 시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을 '1.1.1. 입원 시 정보' 제목 없이 작성한 결과입니다. 환자 간호기간은 2022.10.31 ~ 2022.11.01이다. 성명(이니셜), 생년월일(연령)은 비공개이다. 입원일은 2022.10.31이며, 진단명은 Third degree uterine prolapse이다. 수술명은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total hysterectomyp[LAVTH], Laparoscopic b...2025.02.24
-
감염관리 유치도뇨관 관련 교육자료2025.02.071. 서론 1.1. 배경 및 목적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관리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유치도뇨관 사용은 요로감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관리를 통해 요로감염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관리 지침과 요로감염 예방 방법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유치도뇨관 사용 환자의 안전과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1.2.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관리의 중요성 유치도뇨관 삽입은 요로감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요로감염은 병원감염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이며, 이로 인해...2025.02.07
-
QI활동사례2024.08.301. 수술 후 환자 관리 향상 1.1. 문제 파악 간호사들의 수술 후 환자 관리 미흡으로 인해 환자들의 회복과 퇴원이 지연되어 병상 회전율이 저하되었다. 이는 간호사들의 수술 후 교육 부족과 환자들의 적극적인 관리 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 환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필수적인 교육, 즉 유치도뇨관 관리, 금연, PCA 사용법, 보조기 사용의 필요성과 사용법 등의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환자들이 이러한 교육 내용을 불이행할 경우 재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흡연 환자에 대한 적절한 규제 방안도 부족했다. 이에 따라 수...2024.08.30
-
고혈당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3가지 진술2024.09.061. 당뇨병 환자의 간호과정 1.1. 간호사정 1.1.1. 개인력 52세 여자 환자인 신 씨는 15년 전 당뇨병으로 진단받았다. 종교는 없으며, 학력은 대졸이고, 미혼이며 혼자 살고 있다"" 1.1.2. 건강력 건강력에는 현병력, 주호소, 과거력, 가족력 등이 포함됩니다. 현병력에서 52세 여자 환자 신 씨는 15년 전 당뇨병으로 진단받았으며, 2017년 3월 7일 고혈당과 당뇨망막병증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습니다. 1개월 전 시력저하로 local clinic을 방문하여 당뇨병성 망막병증 진단을 받았고, 최근 측정한 혈당검사 ...2024.09.06
-
유치도뇨관과 무균술2025.03.141. 유치도뇨관의 개념과 목적 1.1. 유치도뇨관의 정의 유치도뇨관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유치도뇨관은 자가적으로 소변을 배출할 수 없는 환자의 방광에 삽입되어 지속적으로 소변배출을 돕는 의료기구이다. 소변 배출이 필요한 환자의 요도를 통해 삽입되며, 방광 내에 위치하여 소변을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유치도뇨관은 환자의 개별적 상황과 요구에 맞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1,2,3] 1.2. 유치도뇨관의 사용 목적 유치도뇨관은 소변을 스스로 배출해낼 수 없을 때 사용한다. 또한 정확한 소변량을 측정해야 할 때, 방광을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