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모유수유 간호 소감2024.09.101. 모유수유 1.1. 모유수유의 정의와 중요성 모유수유는 유아에게 엄마 젖을 먹이는 것을 의미한다. 모유수유는 가장 이상적인 수유 방법으로, 출산 후 첫 24시간 내에 100mL 이하의 소량의 모유가 분비되지만 지속적으로 젖을 빨게 하면 4~5일 후에는 약 500~750mL로 증가한다"". 모유수유는 아기와 산모 모두에게 많은 이점이 있다.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이상적인 음식이다. 모유에는 중추신경계 발달에 중요한 콜레스테롤과 DHA가 풍부하고, 각종 면역 물질과 항체를 포함하고 있어 감염 질환의 발생율을 줄여준다. 또한 천식...2024.09.10
-
통합시뮬레이션실습 분만2024.10.171. 정상 분만 과정 1.1. 분만 1기의 정의 및 간호사정 정상분만과정(분만1기)은 진통이 시작되고 나서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게 되는 1기를 뜻한다. 분만1기의 간호사정은 아래와 같다. 잠재기에는 체온은 37.5도 이내를 유지하며 4시간마다 측정하고, 양막이 파열된 경우 매시간 측정한다. 자궁 수축은 15-30분마다 1회씩 일어나며, 저위험군 산부의 경우 30분마다, 고위험군 산부의 경우 15분마다 측정한다. 저위험군 산부의 경우 태아심박수가 정상 범주(분당 110-160회)를 유지하고 있으며, 가변성이 존재하고 기본선이 ...2024.10.17
-
유방울혈과 관련된 비효과적 모유수유2024.11.111. 비효과적 모유수유 1.1. 유방울혈과 관련된 비효과적 모유수유 1.1.1. 간호진단 "유방울혈과 관련된 비효과적 모유수유의 간호진단은 대상자가 유방울혈로 인해 모유수유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의미한다. 유방울혈은 분만 후 3~5일 사이에 발생하는데, 이 때 분만 후 체내에서 급속한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 유즙량이 증가하게 되고 모유를 제대로 빨지 않으면 유방에 젖이 고이게 된다. 이로 인해 유방이 단단해지고 열감이 있으며 촉감에 과민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유륜이 단단해져 아기가 젖을 물기 힘들어지고 수유 시 통증...2024.11.11
-
분만 1기의 간호에 대해 자세히 알려줘2025.02.021. 분만 1기의 간호 1.1. 분만 1기 활력징후 사정 분만 1기 산모의 활력징후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분만 중 산모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먼저 산모의 혈압을 측정하여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 산모의 방문 당시 상승된 혈압이 관찰되면 30분 후에 다시 측정한다. 산모의 맥박 수와 호흡 수 또한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또한 산모의 체온도 사정하여 발열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분만 1기 동안 산모의 활력징후가...2025.02.02
-
유방울혈간호진단2025.01.221. 유방울혈 개요 1.1. 유방울혈의 정의 유방울혈은 쉽게 말하자면 모유수유 저하로 인해 유방에 모유가 고임으로써 이로 인한 불편감과 고통이 동반되는 증상이다. 유방울혈은 분만 2~3일 정도에 프로락틴 농도 증가로 인해 혈액과 임파액의 순환량이 증가하여 유방 정맥내 혈액이 정체되고 임파관이 증대되며, 젖을 분비하는 유선의 선방세포에서 초유가 분비되기 시작하면서 발생한다. 또한 분만 4~5일에 나타나는 2차 유방울혈은 젖 분비가 왕성하여 젖이 유선계에 꽉 차서 과도하게 팽창되어 발생하는데, 이때 모유를 먹이는 시간을 놓치거나 충분...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