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기후변화*유전자변이2024.10.301. 생명과학과 식량자원 1.1. 생명공학의 정의와 발전 1.1.1. 전통적 육종 기술 전통적 육종 기술은 생명공학 발전의 근간이 되는 기술이다. 전통적 육종 기술에는 교배육종과 돌연변이 육종이 있다."" 교배육종은 근연 또는 원연 식물 간의 교배를 통해 특성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 방식이다. 이 기술을 이용할 경우 목표에 따라 적합한 교배 친을 선정하고, 교배 후 두 개의 교배 친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들의 조합에 의해 나타나는 변이체 중 우량 유전자들이 조합된 우수한 개체를...2024.10.30
-
GMO찬성2024.10.291.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에 대한 이해 1.1. GMO의 개념과 역사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생명공학(Biotechnology)의 한 분야로, 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특정 성질이나 기능을 갖는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이러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1970년대 초 제한효소의 발견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다. DNA 재조합 기술, 형질전환 기술 등의 발달로 유전자 조작이 가능해졌고, 이를 통해 생물체의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변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농업 분야에 적용되어 ...2024.10.29
-
전남대 분자생물학2024.10.161. 제한효소의 발견과 유전자 재조합 기술 1.1. 제한효소의 발견 1.1.1. 베르너 아르버, 대니얼 네이선스, 해밀턴 오서널 스미스의 발견 스위스의 세균학자 베르너 아르버(Werner Arber)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박테리오파지가 세균 숙주에 유전적인 돌연변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에도 유전적인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을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 아르버는 세균에 존재하는 방어효소의 작용에 대해 깊이 연구하게 되었는데, 이 효소는 바이러스의 DNA 분자를 작은 조각으로 잘라 박테리오파지의 성장을 제...2024.10.16
-
GMO식품2024.08.201. 서론 1.1. GMO 식품의 정의와 현황 GMO 식품, 즉 유전자 변형 식품이란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줄임말로, 생물체의 유전자 중 유용한 것을 취하여 그 유전자가 없는 다른 생물체에게 삽입하고 유용하게 변형시킨 농산물 등을 원료로 제조·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현대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GMO 개념이 진화하여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GMO 식품이 등장하고 있다. GMO 식품의 범위는 매우 넓어, 대두, 옥수수, 쌀, 토마토, 호박 등의 주요 농산물부터 연어, 돼지 등 축...2024.08.20
-
생물학의 역사2024.08.291. 서론 1.1. 생물학 연구의 역사적 배경 과학공부를 잘하기 위해 먼저 읽어야 할 생물학의 역사적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우리가 현재 배우는 학문의 분류와 체계는 서양인들이 만든 것이다. 둘째, 서양인들이 대부분의 학문 분야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서양에서 나온 책들이 더 공신력을 갖게 된다. 서양인들은 생물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 분야를 개척하고 발전시켜 왔다. 그에 비해 동양에서는 일본 정도만이 나름의 입지를 굳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최신 학문 분야에서 일본의 서적들이 많이 번역되어 소개되었다....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