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백혈병2024.09.271. 백혈병의 개요 1.1. 백혈병의 정의 백혈병은 혈액 세포에 발생한 암으로 비정상적 혈액세포가 억제되지 않고 과도한 증식을 하여 골수에 생기는 질병이다. 즉, 정상 세포 생성을 억제하는 질환이다." 1.2. 백혈병의 분류 1.2.1.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성인의 급성 백혈병 중 가장 흔한 형태로서 급성 백혈병의 약 65%를 차지한다. 골수성 백혈구의 분화 단계 중 초기 단계에 있는 전구세포(precursor cell) 또는 줄기세포(stem cell)에 암적인 변이가 발생하여 과도한 분열이 일어나고 이것이...2024.09.27
-
임상병리사 전과목2024.10.071. 임상병리학과 소개 1.1. 임상병리학과의 정의와 역할 임상병리학과는 혈액이나 체액, 소변, 조직 등을 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임상검사 기술을 연구하고,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 등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의·생명 분야가 융합된 응용학문이다. 특히 임상 화학, 진단 혈액학, 임상 미생물학, 임상 면역학, 수혈의학, 진단조직세포학, 세포유전학 및 분자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성 있는 정확한 검사 결과를 제공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임상병리사를 양...2024.10.07
-
코로나19 개요 및 감염예방 관리 방안2024.10.051. 코로나19 개요 1.1. 코로나바이러스 특징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에 싸여 있는 포지티브 센스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로, 크기는 80~220 nm이다. 외피에 20nm의 왕관 모양과 같은 돌기가 있어 태양의 코로나(corona)처럼 보이기 때문에 코로나바이러스로 명명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서, 박쥐로부터 시작된 바이러스가 중간 숙주를 거치면서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형태의 유전적 서열이 변형되었다. RNA 바이러스는 쉽게 유전적 돌연변이가 생성되는 특성이 있어 숙주를 거치는 동안 일어난 변이가 최종 숙주...2024.10.05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2024.09.281. 전공 소개 1.1. 임상병리학과 임상병리학과는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인 중 의료기사인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학과이며, 단과대학으로는 보건과학대학(College of Science in Public health)에 속해져있다. 임상병리학을 진단검사의학이라고도 하는데, 진단검사의학(Laboratory medicine)이란 인체로부터 채취되는 각종 검체로 특정 물질을 검사함으로써 질병의 선별 및 조기 발견, 진단 및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에 기여하고 질병의 기전 및 병의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검사를 처방하는 의사들의 자문...2024.09.28
-
문헌고찰 양식 원치않는 임신2024.09.301. 정상임신 간호 1.1. 임신 준비 1.1.1. 계획된 임신 계획된 임신은 여성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검진하고 건강한 아이를 갖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으로, 기본 검사 및 부인과 검진과 같은 신체적 검진에서부터 심리 정서적 준비까지 포함하고 있다. 산전 검사와 산전 상담은 임신 전에 산모의 위험 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생후 1년 이내의 영아 사망원인이 되는 조산 관련 문제들, 출생 시 결함 등은 산전 예방 간호를 시작하면 유의하게 감소될 수 있다. 예비부부의 50%는 건강한 임...2024.09.30
-
난소암논문2024.11.191. 난소암 개요 1.1. 난소암의 역학 및 특징 난소암은 한국 여성의 생식 기계 종양의 약 30%를 차지하여, 자궁경부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며, 부인과 암 중 가장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외국의 경우 자궁경부 암은 점차 감소하는데 비해 난소암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난소암의 전체 발생 수는 적으나 점차 그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암 통계에 의하면 국내 난소암 발생자 수가 2005년에는 1,675명, 2010년에는 2,052명, 2016년에는 2,630명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연령표준화에...2024.11.19
-
운전중휴대전화사용에대한찬반2024.12.201. 유전자 검사 1.1. 소비자 직보 유전자 검사의 유의사항 소비자 직보 유전자 검사의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프랜시스 콜린스의 저서 '생명의 언어'에 의하면, 소비자 직보 유전자 검사는 함부로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유전자 검사 전에는 전문가와의 상담을 거쳐 결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상담이 필요하다. 또한 유전자 검사 결과는 개인의 건강, 생활, 가족관계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준비와 주의가 요구된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발견된 유전적 소인이나 질병 위험은 개인의 삶의 질과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2024.12.20
-
쯔쯔가무시열 케이스2024.11.261. 서론 쯔쯔가무시병은 국내에서 가장 흔한 가을철 열성질환으로 전국에서 매년 수천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임상적으로 고열, 두통, 원발 병변인 가피(eschar)와 반점상발진이 특징이다. 늦게 치료가 되거나 고령자에서 드물게 쇼크, 호흡부전, 신부전, 의식저하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있고, 합병증 없이 치료된 후에도 전신 쇠약감, 식욕부진이 수개월간 지속 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좋다. 본인이 0병원 응급실에서 실습하는 동안 하루에 1~2명이상의 환자가 쯔쯔가무시병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경험이 ...2024.11.26
-
암 수술 간호2024.12.161. 유방암 수술 환자 사례 연구 1.1. 대상자 정보 이유방(42/F)님은 기혼이며, 26세에 초산했다. 초산 이후 경구피임약을 꾸준히 복용 중이다. 15년 전(27세) 유방 자가검진 중 왼쪽 상외측 유방에 덩어리가 촉진되어 종합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받았을 때 2.5 cm의 섬유선종 존재한다고 진단받았다. 양성 종양이기 때문에 제거하지 않았다. 11/17일부터 왼쪽 유방이 찌릿거리는 통증과, 액와림프절이 촉진되어 11월 23일 외래를 통하여 유방촬영술과 조직검사를 위해 방문했다. 검사 결과 6.2 cm의 종양이 발견되었으며, ...2024.12.16
-
가을철진드기 매개질환보건교육2024.09.021. 쯔쯔가무시병 1.1. 정의 쯔쯔가무시병은 진드기티푸스, 덤불티푸스, 초원열, 잡목열 등으로도 불리는 발열성 질환이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면 그 미생물이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에 퍼져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한다. 리케차(Rickettsiae)는 세포 내에 기생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미생물로 세균보다 약간 작고, 막대 모양 또는 알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리케차 감염증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쯔쯔가무시병도 그 중 하나이다. 1.2.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