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백신연구에 활용되는 탄소화합물2024.09.131. 미생물의 일반적 특성과 역할 1.1. 미생물의 정의와 분류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확대 없이는 보기에 너무 작은 생물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이런 미시적(microscopic) 생물을 총체적으로 미생물(microorganism 또는 microbe)이라는 용어로 부른다. 미생물에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 원생동물, 조류 등이 포함된다. 각 분류군은 독특한 생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학은 생물학의 가장 크고 복잡한 분야 중 하나로서, 유전, 생리, 해가 되거나 득이 되는 특징,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2024.09.13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2024.09.281. 전공 소개 1.1. 임상병리학과 임상병리학과는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인 중 의료기사인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학과이며, 단과대학으로는 보건과학대학(College of Science in Public health)에 속해져있다. 임상병리학을 진단검사의학이라고도 하는데, 진단검사의학(Laboratory medicine)이란 인체로부터 채취되는 각종 검체로 특정 물질을 검사함으로써 질병의 선별 및 조기 발견, 진단 및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에 기여하고 질병의 기전 및 병의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검사를 처방하는 의사들의 자문...2024.09.28
-
제한효소를 이용한 DNA의 절단 및 전기영동2024.09.191. 제한효소를 이용한 DNA 절단 및 전기영동 1.1. 제한효소의 개요 1.1.1. 제한효소의 정의 및 기능 제한효소는 이중 가닥 DNA 분자의 특정한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그 부분이나 주변을 절단하는 효소이다. 제한효소는 세균이 박테리오파지라는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으면 생산하는 효소로, 바이러스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구분하고 이중 나선 DNA를 절단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DNA는 보호하고 외부 유입 DNA는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2024.09.19
-
인공지능이 더 많은 일을 맡게 된다면 인간은 일에서 벗어나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을까 아니면 인공지능 로봇에 의한 자동화가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인가2024.10.221. 서론 인공지능(AI)의 발전은 21세기 들어 가장 주목받는 기술 혁신 중 하나로, 산업과 사회의 여러 측면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왔다. 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 분석 능력의 향상은 AI 기술의 급속한 성장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제는 AI가 일상생활은 물론, 전 세계 경제 구조와 노동 시장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제공하며, 일자리 문제는 AI 시대의 가장 논쟁적인 주제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AI는 본질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2024.10.22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2024.10.041. 임상병리학과 개요 1.1. 임상병리학과의 정의 및 역할 임상병리학과는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인 중 의료기사인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학과이며, 단과대학으로는 보건과학대학(College of Science in Public health)에 속해져있다. 임상병리학을 진단검사의학이라고도 하는데, 진단검사의학(Laboratory medicine)이란 인체로부터 채취되는 각종 검체로 특정 물질을 검사함으로써 질병의 선별 및 조기 발견, 진단 및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에 기여하고 질병의 기전 및 병의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검사를...2024.10.04
-
생물속생설2024.09.291. 미생물의 이해 1.1. 미생물학의 정의와 범위 미생물학(microbiology)은 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한 작은 생물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생물학의 분야이다. 미생물은 세상에 편재(널리 퍼져있음)되어있으며, 인체에 감염성을 가진 미생물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미생물학의 분류군에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 원생동물, 조류 등이 포함되며, 특히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생물로 취급되지 않지만 미생물학에서 다루어진다. 이는 미생물학의 정의가 과학적으로 다소 명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생물학의 주요 분야로는 면역학, 공...2024.09.29
-
축산식품미생물학2024.09.291. 미생물의 역사와 발전 1.1. 미생물의 발견 미생물의 발견은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17세기 중반,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안토니 반 레벤후크(Antoni van Leeuwenhoek)는 현미경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처음으로 미생물을 관찰하였다. 그는 치아의 스케일링 과정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작은 생물체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미생물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이로써 미생물이라는 새로운 ...2024.09.29
-
마이 시스터즈 키퍼 영화 감상문2024.10.031. 마이 시스터즈 키퍼 영화 감상문 1.1.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급성 전골수세포성백혈병(APL)을 앓고 있는 언니 케이트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태어난 열세 살 안나의 독백으로 시작된다" 안나는 자신이 케이트를 살리기 위해 유전공학으로 태어난 맞춤형 아이라고 밝힌다. 케이트가 2살 때 백혈병 진단을 받았고, 안나는 태어났을 때부터 본인의 신체와 관련된 권리를 빼앗겨 왔다. 어릴 때부터 11년간 8회의 입원을 하며, 튜브 삽입 6회, 골수 기증 2회, 줄기세포 채취 2회 등 많은 것을 기증해야만 했다. 이에 안나는 자신의 신체적...2024.10.03
-
백터2024.10.211. 유전공학의 개관 1.1. 유전공학의 정의 유전공학이란 DNA 및 다른 핵산의 인위적인 조작, 변형, 재조합을 통하여 생명체의 유전자를 변화시키는 기술이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등장한 새로운 학문 분야로, 생명체의 유전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유전공학은 분자생물학과 생명공학을 아우르며, 현대 생명과학 연구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1.2. 유전공학 발전의 역사 유전공학의 발전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유전공학의 역사는 1866년 멘델의 유전 법칙 발견으로부터 시작된다고...2024.10.21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2024.10.051. 임상병리학과 소개 1.1. 임상병리학과의 정의 및 주요 업무 임상병리학과는 의료기사인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학과로, 진단검사의학이라고도 불린다. 진단검사의학은 인체로부터 채취된 각종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선별, 조기 발견, 진단 및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에 기여하고 질병의 기전 및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사는 검사를 처방하는 의사들의 자문에 응하여 유효한 임상적 성과를 얻게 하는 전문 진료과목의 역할을 수행한다. 임상병리사의 주요 업무는 혈액검사, 체액검사, 세포검사, 조직검사, 뇌파검사 등 각종 의학...202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