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한국어 음운 변화와 음절 구조 제약2024.09.201. 음운 변화와 음운 변동 1.1. 음운 변화와 음운 변동의 개념 음운 규칙(phonological rule)은 모국어 화자들의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추상적인 음운 정보가 실제 음성으로 출력되는 과정에 적용되는 음운의 변화과정에 관한 규칙이다. 예를 들어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음운 정보는 '국물'이지만 실제 말소리는 [궁물]로 출력된다. 하지만 모국어 화자들은 [궁물]이라는 발음을 들어도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음운 정보는 '국물'인 것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는 통시적인 변화를 음운 변화(phonologial c...2024.09.20
-
한국어 음운 규칙 및 말하기 평가 방법2024.12.141. 한국어 음운 규칙 1.1. 자음 동화 1.1.1. 비음화 비음화는 파열음(ㄱ, ㄷ, ㅂ)이 비음(ㅁ, ㄴ) 앞에서 비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는 발음의 편의를 위해 일어나는 음운 변화로, 발음을 더 자연스럽게 만든다. 예를 들어 '국민'이라는 단어는 원래 [국민]으로 발음되어야 하지만, 실제 발음은 [궁민]으로 변화한다. 이처럼 'ㄱ'이 비음 'ㄴ' 앞에서 'ㅇ'으로 변하는 것이 비음화 현상이다. 또한 '밥물'은 [밥물]이 아닌 [밤물]로 발음되는데, 여기서 'ㅂ'이 비음 'ㅁ' 앞에서 'ㅁ'으로 동화되었다. 이처럼...2024.12.14
-
자음 체계의 변천2025.01.091. 서론 1.1. 자음 체계의 변천 고대국어의 자음체계는 제자 원리에 따라 상형 기본자와 가획자, 이체자로 이루어져 있었다. 기본자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상형하여 만들었고, 가획자는 기본자에 획을 더해 소리의 약하고 강함을 나타냈다. 이체자로는 ㆁ, ㄹ, ㅿ 등이 있었다. 이러한 17초성 체계에 전탁자 6자를 더해 동국정운 23자음 체계를 만들었다. 중세국어의 자음 체계는 22개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양순음, 치조음, 설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등 7개 계열의 자음이 사용되었고, 된소리 계열 자음도 등장했...2025.01.09
-
영어음성음운론2024.09.081. 음운론의 이해 1.1. 음운론의 정의와 목적 음운론은 언어학의 중요한 하위 분야로, 개별 언어나 여러 언어의 소리 체계에 대해 심도 깊게 탐구하는 학문이다. 음운론은 의사소통의 수단인 언어를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소리와 발음에 관련된 학문이다. 음운론의 목적은 말소리가 어떻게 실현되고 왜 그렇게 실현되는지를 연구하여 언어의 "말소리"와 관련된 다양한 약속을 다루는 것이다. 즉, 음운론은 단순한 소리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넘어서 그 소리들이 언어 체계 내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의미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목...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