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축산식품미생물학2024.09.291. 미생물의 역사와 발전 1.1. 미생물의 발견 미생물의 발견은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17세기 중반,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안토니 반 레벤후크(Antoni van Leeuwenhoek)는 현미경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처음으로 미생물을 관찰하였다. 그는 치아의 스케일링 과정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작은 생물체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미생물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이로써 미생물이라는 새로운 ...2024.09.29
-
치위생과 구강미생물학2024.10.1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대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구강 위생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EM 용액이 구강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고 시간에 따른 pH 유지력을 측정하여, 치의학적 관점에서 사람들에게 EM 용액의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다. 실제로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예방을 위해 '구강의 청결한 관리'에 주목할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점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