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비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 수업을 들으며 느낀점2024.09.121. 서론 필자는 기독교인이 아니다. 가톨릭교인도 아니다. 따라서 이 두 종교에 신앙심이 깊은 분들처럼 성서의 내용이 머릿속에 달달 외워져 있지도 않고 그분들만큼 성서 속 말씀들을 깊이 생각하기에도 역부족이다. 그러므로 이번 글을 쓰면서 성서 속에 있는 격언들을 적혀져 있는 내용만이라도 이해하는 식으로 읽어보았다. 성서를 처음 읽어본 사람으로서 느낀 바에 따라 솔직하게 떠오르는 방식으로 글의 소재들을 정하였다. 먼저 성서가 어떤 책인지에 관해 생각해보니 읽자마자 문학 작품을 읽는 느낌이 들어서 고전으로서 성서의 의미를 알아볼 것이다...2024.09.12
-
조직신학2024.10.121. 조직신학의 개념과 발전 1.1. 신학의 정의 및 구성 요소 신학은 하나님을 학(logy)이고 신(theos)과 가르침(logos)의 합성어이다. 신학은 단순히 신에 대한 이론이 아니며, 신학의 대상은 오로지 신과 인간과의 관계이다. 다시 말해 인간이 하나님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인간의 경험을 성찰하는 것이다. 칼라너는 신학을 "하나님께서 역사를 통하여 선포하신 실제적 계시의 말씀에 귀기울여 경청하는 그리스도인의 의식적인 노력"이라고 정의했다. 라너도 신학을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성을 표현하면서 먼저 역사...2024.10.12
-
교육철학자사상2024.11.111. 실존주의와 실존철학자의 사상 1.1. 실존주의의 역사적 개요 실존주의는 20세기 전반(前半)에 합리주의와 실증주의 사상에 대한 반동으로서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철학 사상이다. 실존이라는 것이 현대적인 의미로서 다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덴마크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1813–1855)에서부터이다. 키에르케고르는 힘겨운 기독교와의 논쟁으로 자신의 삶을 마감했으며 자신은 신보다는 인간의 양심을 믿는다고 했지만 그는 유신론적인 실존주의자로 말하여진다. 실존철학의 무신론적인 것은 니체(1844–1900)에 의해서부터이다. 그...2024.11.11
-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 성경해석학2024.08.221. 서론 1.1. 구약 성경에서 보여주는 역사와 하나님의 구원 계획 구약 성경에서 보여주는 역사와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께서는 창조를 통해 역사의 시작을 알리셨으며, 그 역사의 주관자가 되셔서 자신의 계획과 섭리 가운데 만물을 운행하시고 인간들의 삶을 이끌어 가신다. 특히 아브라함과 그 후손들에게 거대한 계획을 세우시고 언약을 통해 그 계획을 이루어 가신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후손을 많게 해주시겠다는 약속을 하셨고, 이 약속은 이스라엘의 역사 흐름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아브라함이 믿음...2024.08.22
-
신학과 사람의 연관성2024.08.281. 성경신학의 개념과 유형 1.1. 성경신학의 정의와 의의 성경신학의 정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성경신학은 성경을 신학적 관점에서 다루는 학문 분과이다. 성경신학은 성경이 계시하고 있는 하나님의 진리와 뜻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성경신학은 성경 전체의 내용과 메시지를 하나의 통일된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성경신학은 성경이 전달하고자 하는 신학적 진리를 밝히고자 한다. 성경신학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신학은 성경의 신학적 메시지와 진리를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성경 이해를 돕는다....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