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조선시대 성균관교육2025.03.051. 서론 1.1. 조선시대 성균관교육 개요 조선시대 성균관은 역사 이래 최고의 학부기관이었다. 성균관에는 최고의 책임자로 정3품직인 대사성을 두었으며, 그 아래에 좨주·악정·직강·박사·학정·학록·학유 등의 관직을 두었다. 성균관 유생의 정원은 개국 초에는 150명이었으나, 1429년(세종 11)부터 200명으로 정착되었다.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한 유생을 상재생이라 하였으며, 소정의 선발 시험인 승보나 음서에 의해 입학한 유생들을 하재생이라 하였다. 성균관 유생은 기숙사격인 동재와 서재에서 생활하였으며, 출석 점수 300점 이상...2025.03.05
-
조선시대교육제도2024.09.291. 조선시대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1.1. 조선시대 교육제도 1.1.1. 관학 1.1.1.1. 성균관 성균관은 조선왕조의 국립 최고고등교육기관이었다. 성균관은 고구려에서는 국학, 신라에서는 태학이라 불리다가 고려시대에 처음으로 국자감이라 칭해졌으며, 그 후 성균관으로 불리었다. 태조 7년(1398)에 현재의 성균관대학교가 있는 숭교방에 건립되었다. 성균관의 주된 교육목적은 인재양성, 선현·선성에게 제사지내는 것, 고급관리 배출 등이었다. 성균관의 주요 시설로는 문묘, 명륜당, 존경각, 계성사, 비천당, 육일각, 일양재, ...2024.09.29
-
성균관대 답사2024.09.211. 성균관의 개요 1.1. 성균관의 의미와 역사 성균관은 조선시대 최고의 국가 교육기관이었다. 그 이름의 의미는 "인재를 이루어 풍속을 고르게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성균관의 역사는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 충렬왕 때인 1289년에 당시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국자감(國子監)의 명칭을 '성균'이라는 말로 개칭하면서 시작되었다. 충숙왕대인 1308년에는 '성균관'으로 개칭되었고, 공민왕대에는 국자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362년에 다시 성균관이 되었다. 조선 건국 이후에도 성균관이라는 명칭이 그대로 유지되어,...2024.09.21
-
출석체크2025.05.261. 서론 1.1. 성균관 공부 벌레들에 대한 이해 성균관은 조선 시대 최고의 공립 교육기관으로, 과거 시험을 치르기 위해 선별된 유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곳이었다. 이들 유생들은 조선의 미래를 짊어질 인재로 여겨졌으며, 엄격한 규율과 경쟁적인 학업 평가 속에서 유교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성균관 유생들은 생원시와 진사시라는 소과 시험을 통과해야만 입학할 자격이 주어졌다. 이들 중 상재생들은 명문 가문의 자제들이었지만, 상재생만으로는 성균관의 정원을 채우지 못했기에 하재생들이 추가로 입학하였다. 하재생에는 승보기재생, 문음...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