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산욕기 교육안2024.09.121. 산모 교육안 개요 1.1. 산욕기 간호의 필요성 산욕기 간호의 필요성은 분만 직후부터 6주 동안 임신·분만으로 초래된 해부학적, 기능적 변화가 임신 전 상태로 회복되는 기간 동안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 시기는 모든 신체기관이 임신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중요한 시기이며, 효과적인 간호 중재와 교육을 통해 산욕기 자가간호와 신생아 양육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최근 핵가족화로 인해 신생아 양육에 대한 경험이 상실되고 산모들이 부모의 도움을 받을 수 없게 되면서, 산후 관리에 어려움을 겪...2024.09.12
-
여성 시뮬레이션 산욕기2024.09.241. 산모의 생리적 변화와 간호 1.1. 자궁의 복구 1.1.1. 자궁의 크기 변화 분만 후 산모의 자궁은 점진적인 크기 변화를 겪게 된다. 분만 직후 자궁은 제대부나 제대부 2cm 아래에 위치하며 그 크기가 약 1000g 정도이다. 그러나 이후 자궁은 점차 상승하여 분만 후 12시간이 지나면 제대부나 제대부 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1주일이 지나면 치골 결합과 제대부 중간 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분만 5주 후에는 약 50~60g의 정상적인 크기로 회복된다. 이처럼 분만 후 자궁의 크기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임신 전 수준으로 ...2024.09.24
-
산후 간호진단2024.09.211. 산욕기 산모의 신체적 간호 1.1. 산후 합병증 위험요인 산욕기 산모의 합병증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과정(겸자분만, 제왕절개, 흡입분만)이 있었던 경우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둘째, 당뇨병의 기왕력이나 임신성 당뇨가 있는 경우 감염 위험이 높다. 셋째, 진통이 24시간 이상 지연되거나 유치도뇨관을 사용한 경우 감염 위험이 높다. 넷째, 산모가 빈혈(헤모글로빈 10.5mg/dL 이하)인 경우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다섯째, 진통 동안 잦은 내진을 한 경우 감염 위험이 높다. 여섯째, 양막이 24시간 이상 파열된...2024.09.21
-
제왕절개 퇴원교육2024.10.041. 제왕절개 산모의 퇴원 안내 1.1. 상처 관리 상처 관리는 제왕절개 산모의 빠른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실밥 제거 후 수술 상처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더 이상의 소독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상처가 붉게 부어오르거나 분비물이 있고, 고열(38℃이상)과 심한 통증이 있을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복대는 수술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착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풀어도 된다. 전반적으로 상처 관리는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 신속히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오로 및 산후통 간헐적으로 ...2024.10.04
-
산욕부 산모교육2024.10.081. 산모 산욕기 관리 1.1. 자궁퇴축 출산하고 태반이 만출되면 자궁저부는 대개 배꼽 아래에 위치하고 분만 후 12시간 후에는 배꼽 부위로 상승되었다가 하강하게 된다. 분만 후 10~12일이면 더 이상 복벽에서 만져지지 않고 분만 후 6주가 되면 자궁이 거의 완전 회복되고 임신 전의 크기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처럼 자궁은 분만 후 점점 퇴축되어 임신 전의 크기로 회복되는데, 이를 자궁퇴축이라고 한다. 자궁퇴축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분만 후 24시간 동안 자궁저부검진을 통해 자궁이 이완되어 있는지...2024.10.08
-
여성 산모교육2024.10.231. 모유수유의 중요성 1.1. 모유수유의 현황 전국표본조사에 의하면 모유수유율(수유기간 구분 없이 모유만 먹인 경우)이 1982년도 조사에 68.9%, 1985년도 조사에 59.0%, 1988년도 조사에 48.1%, 1994년도 조사에는 11.4%, 1997년에는 14.1%, 2000년도 조사에서는 10.2%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가장 최근인 2003년도 조사에서는 생후 12개월까지 모유만 먹인 비율이 16.5%로 모유수유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1980년대부터 정부 및 민간단체가 모유수유권장을 위한 홍보교육과 ...2024.10.23
-
드라마 산후조리원 간호문제2024.12.161. 모유수유 교육 1.1. 모유수유의 필요성 1.1.1.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모유수유는 신생아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모유는 신생아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건강한 성장을 돕는다. 첫째, 모유는 신생아를 각종 감염으로부터 보호해준다. 모유에는 면역항체와 항균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감염원으로부터 아기를 예방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분유를 먹는 아기들의 장염과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모유수유 아기에 비해 각각 14배,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유수...2024.12.16
-
자연분만 산욕 케이스2024.08.201. 서론 1.1. 산욕기 간호의 중요성 산욕기 간호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산욕부는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및 안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산후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산욕기 간호는 산모의 신체적 변화인 자궁 퇴축, 회음부 상태, 배뇨 및 배변 상태, 유방 관리 등을 사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산모의 안전하고 건강한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024.08.20
-
여성 progress note2025.01.121. 입원 및 경과 기록 1.1. 입원 사유 및 병력 상기자는 현재 임신 30주 2일로 ㅇㅇ병원에서 정기검진을 받던 중 갑작스러운 질 출혈이 있어 연고지로 인해 본원에 전원되어 입원하였다. 과거력 상 부인과 질병, 성병, 고혈압, 당뇨, 간염, 암, 폐결핵, 간질, 정신질환, 풍진, 바이러스병, 정맥염, 심장질환, 내분비질환, 폐질환, 콩팥질환 등의 병력은 없으며, 현재 임신 이외 다른 질병도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가족력 상에서도 결핵, 성병, 당뇨, 고혈압, 선천성 기형, 심장질환, 유전질환 등의 병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2025.01.12
-
유방울혈간호진단2025.01.221. 유방울혈 개요 1.1. 유방울혈의 정의 유방울혈은 쉽게 말하자면 모유수유 저하로 인해 유방에 모유가 고임으로써 이로 인한 불편감과 고통이 동반되는 증상이다. 유방울혈은 분만 2~3일 정도에 프로락틴 농도 증가로 인해 혈액과 임파액의 순환량이 증가하여 유방 정맥내 혈액이 정체되고 임파관이 증대되며, 젖을 분비하는 유선의 선방세포에서 초유가 분비되기 시작하면서 발생한다. 또한 분만 4~5일에 나타나는 2차 유방울혈은 젖 분비가 왕성하여 젖이 유선계에 꽉 차서 과도하게 팽창되어 발생하는데, 이때 모유를 먹이는 시간을 놓치거나 충분...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