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초음파 유방 진단검사2024.09.171. 유방의 구조와 기능 1.1. 유방의 위치와 구성 여성의 유방은 치부로 덮인 선 조직으로 제 2~6 늑골 사이에 위치하며 흉골 외측면에서 액와 중앙선 사이에 대칭으로 놓여있다. 보통 유방의 크기는 직경이 10~12cm이고, 두께는 5~7cm이며 각각의 무게는 150~200g 정도이다. 유방은 복잡한 선 조직, 유관, 지방조직, 림프관, 혈관, 근막, 결체조직 등으로 망상조직을 이루며 대흉근과 전거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방의 중앙 표면에는 유륜과 유두가 돌출되어 있다. 1.2. 유방의 선 조직과 기능 유방의 선 조직은 유방의 ...2024.09.17
-
성인간호학 신경계 기말고사2024.12.121. 항상성 유지 1.1. 체액과 전해질 1.1.1. 체액 구성과 기능 체액은 체내에 분포하는 수분이며,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으로 구분된다. 체액은 세포 활동에 필수적인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며, 노폐물 배출, 체온조절, 혈압조절 등의 중요한 기능을 한다. 세포외액은 체중의 약 20%를 차지하며, 체액의 1/3을 구성한다. 세포외액에는 혈장액, 간질액(림프액 포함), 체강액(타액, 위장분비액, 뇌척수액, 늑막강액, 활액 등)이 포함된다. 세포외액은 세포에 영양분, 수분, 전해질 등을 전달하고 노폐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2024.12.12
-
BCS수술과정2024.08.271. 서론 1.1. 유방암의 정의 및 발병률 유방암은 우리 몸의 정상세포가 무제한으로 자라 유방 내에 발생한 악성종양이다. 전 세계적으로 여성암 중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우리나라에서도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여성암이다. 매년 약 2만 명 이상의 여성이 유방암을 진단받고 있어 그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방암은 유관과 유선엽의 상피세포에서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암으로, 주로 40세 이후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유방암의 발병에는 여성호르몬 노출, 유전적 요인, 출산 및 수유력, 비만, 음주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