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익산 미륵사지2024.10.141. 익산 미륵사지 1.1. 미륵사지의 역사와 구조 1.1.1. 미륵사지 창건과 구조 미륵사지 창건과 구조는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과 왕비가 사자사에 가는 길에 용화산 아래 큰 연못에 이르렀을 때 미륵삼존이 나타났다. 왕비가 왕에게 이곳에 큰 절을 세울 것을 청하자, 왕은 승려인 지명법사에게 연못을 메울 방법을 묻고 신력으로 하루만에 산을 옮겨 연못을 메워 대전과 탑, 회랑 등을 각각 세 곳에 세웠다. 이 절을 '미륵사'라 이름 지었다. 발굴조사 결과 미륵사지는 중문-탑-금당이 일직선상에 배열된 1탑 ...2024.10.14
-
실크로드와2024.09.251. 실크로드의 정의와 역사 1.1. 실크로드의 정의와 단어 유래 실크로드는 고대 중국과 서역 각국 간에 비단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무역을 하면서 정치·경제·문화를 이어 준 교통로의 총칭이다. 실크로드라는 명칭은 독일의 지리학자 리히트호펜(F. von Rhthofen, 1833~1905)이 1869~1872년에 중국을 여행하고 저술한 『China』라는 책에서 중국의 비단이 중앙아시아로 수출되는 경로를 독일어로 자이덴스트라(Seidenstrassen, 비단길)이라고 명명한 후부터 '실크로드'라 불리게 되었다. 실크로드는 비단길, 황량...2024.09.25
-
국립민속박물관 방문 소감 작성2024.12.091. 국립민속박물관 견학 소감 1.1. 박물관의 구조 1.1.1. 1층 - 선사·고대역사관, 중세 및 초기 근대 역사관 1층의 선사·고대역사관에는 구석기실, 신석기실, 청동기시대 및 고조선실, 원삼국실, 고구려실, 백제실, 가야실, 신라실 등 9개의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에는 구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전국 유적에서 출토된 4,500여 점의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돌손도끼, 토기, 청동기 등 선사시대부터 고대의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어 한반도 초기 정착민들의 문화 발전 과정을 엿볼 수 있다. 반구대 암각화 등의...2024.12.09
-
국립민속박물관 방문 소감문 작성2024.12.091. 서론 박물관은 우리가 예술, 문화, 역사, 전통 그리고 과학적 관심의 많은 것들을 보는 건물이다. 그것은 훌륭한 지식의 원천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지식을 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역사, 문화, 문명, 종교, 예술, 건축에 친숙하게 만든다. 박물관에는 대중을 위해 보관된 많은 것들이 있다. 이 모든 것들을 통해 우리는 고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그들이 무엇을 사용했는지, 그들이 무엇을 만들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박물관은 역사의 창고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모든 사실을 한 눈에 알게 해주는 박물관이 있다. 바로 국립민속...2024.12.09
-
답사기행문2024.10.171. 정동의 근대사와 문화유산 1.1. 답사 지역 선택 동기 및 답사 경로 정동은 서울 덕수궁 뒤편에서 경향신문사에 이르는 동네로, 마을 이름은 조선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침인 정릉(貞陵)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태종이 즉위하고 태조가 승하하자 정릉은 한성 밖으로 옮겨졌지만 '정동'이라는 이름은 계속 남아 지금까지 서울 법정동 이름으로 남아있다. 이번에 서울의 근대사 흔적을 찾아보기 위한 곳으로 정동을 고른 까닭은 그 당시 정동이 지닌 상징성 때문이다. 열강들의 이권다툼이 치열하던 19세기와 20세기 초, 정동은 대한제국의의 심...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