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신구약중간사2024.11.231. 신구약 중간시대 1.1. 문화와 문학적 배경 1.1.1. 유대교와 헬라니즘의 대결 "헬레니즘 발생과 전파는 알렉산더 대왕(336-323BC) 이후 약 3세기 동안의 문명을 표현하는 말이다. 알렉산더 대왕은 군사적인 정복을 통해 세계적인 제국을 건설하고 언어와 관습, 문명을 통일시키는 것을 평생의 숙원으로 생각했다. 알렉산더 대왕 사후 그의 제국은 동쪽은 시리아의 셀류커스(Seleucids) 왕조와 이집트의 프톨레미(Ptolemies) 왕조로 나뉘었으며, 이들이 다스리는 나라들에서 헬라화 운동은 급속도로 진전되어 갔다. 특히...2024.11.23
-
마태복음 독후감2025.03.201. 소개 마태복음은 신약성경의 첫 번째 책으로, 그간 많은 독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여러 복음서 중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점, 그리고 유대교와의 긴밀한 연결고리를 보여준다는 점이 특징으로 지적된다. 초대 교회에서는 유대교와의 연속성을 드러내는 성격이 강하다고 여겨져 맨 앞에 배치했다고 전해진다. 즉, 당시 그리스도인들은 오랫동안 이어져 온 유대교의 신앙적 토대를 부정하거나 거부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 뿌리에서 신앙이 싹트고 열매를 맺는 느낌으로 메시야에 대한 믿음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맥락에서 마태복음이 가지는 의미가 적지 않았...2025.03.20
-
랍비계 유대교2024.10.031. 유대교의 성경 해석 방법론 1.1. 서론: 연구의 목적과 방향 예수님의 성육신 직전의 역사에 대한 성경의 침묵은 주목할 만하다. 이 400년의 공백기를 '신구약 중간기'(Intertestamental period)라 부른다. 우리는 이 기간 동안 하나님의 특별계시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기간에 일어난 세상 역사와 문헌들을 살펴봄으로써 예수님의 사역의 배경을 연구 할 수 있다. 신약연구에 있어 유대교와 유대문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작금의 유대인 출신 학자들 및 몇몇 유대문헌 전문가들(예 Jaco...2024.10.03
-
통제이론과내통제심리학과외부통제심리학에 대2024.10.251. 자유로부터의 도피 1.1. 저자 소개: 에리히 프롬 에리히 프롬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회심리학자이면서 정신분석학자이면서 인문주의 철학자이다. 그는 유태인 부모의 외아들로 태어났으며, 정통 유태교 신앙 속에서 자랐다. 이러한 가정환경으로 프롬은 어릴 때부터 랍비들의 삶의 태도에 의해 많은 감화를 받고 그들의 정신세계를 자신의 고향으로 생각하면서 살아왔다. 소년기의 프롬에게 가장 큰 충격적인 사건은 열두 살 때 겪었던 25세의 한 아름다운 여인의 자살이었다. 이 사건은 심리학적인 문제의식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고, 훗날 ...2024.10.25
-
기독교와 조상숭배 서평2024.11.171. 조상숭배와 기독교 1.1. 조상숭배의 문화적·종교적 의미 조상숭배는 문화적·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조상숭배는 중대한 종교적 현장이자, 인류의 가장 중요한 종교적 표현으로 간주된다.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조상들에 관한 신앙이 일반적이다. 살고 죽은 사람들의 유물은 생존해 있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기억에 보존되어지는데, 이제 죽은 자들은 조상들의 범주로 옮겨진다. 조상이라는 신분은 상당한 윤리적 탁월성과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이해성을 함의하고 있다. 또한 조상은 산 자들이 일정한 유익을 구할 수 있는 대상이며, 중요...2024.11.17
-
신명기계 역사서와 역대기계 역사서2024.11.251. 유대교 1.1. 유대인과 유대교 1.1.1. 유대인의 유래 유대인의 유래는 기원전 2000여 년, 작은 셈족의 유목민들을 이끌었던 아브라함이 가나안으로 이주해옴으로써 시작된다. 유목민 아브라함은 그의 자손에게 가나안의 땅을 준다는 신의 약속을 받았으며 계약 때문에 가나안은 유대민족 약속의 땅이 되었다. 아브라함의 손자 야곱은 바빌로니아 등에 쫓겨 이집트로 이주하였다. 이 유목민들은 히브리인(Hebrews)으로, 오늘날 이스라엘인의 조상이었다. 이들은 힉소스족의 통치 때엔 처세를 통해 차별 없이 살았으나, 상이집트(Upper...2024.11.25
-
이스라엘7대절기2024.10.131. 이스라엘의 절기 1.1. 유대력과 종교력 이스라엘의 유대력과 종교력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유대인들은 태양력과 달력을 함께 사용하여 생활하였는데, 그들의 종교력은 달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달력은 가나안 땅의 농사와 연관되어 있으며, 12달로 구성되어 있다. 그 달력의 첫 달은 아빕월(또는 니산월)이며, 이 달은 보리 추수와 맞물려 있다. 유대인들은 이 달력에 따라 다양한 절기를 지켜왔는데, 이 절기들은 종교적 의미를 갖고 있다. 유대인들의 종교력은 달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절기들은 각 달의 ...2024.10.13
-
세계교회사2024.09.021. 기독교의 배경 1.1. 유대적 배경 알렉산더 대왕의 헬레니즘 시대에 유대인들은 소수 지파들로 느슨하게 구성된 집단이었으나, 정치적 독립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대제국들이 몰락했다가 일어서기 전의 정체기에만 가능했던 일이었다. 알렉산더의 정복 사업 이후 유대인들은 관용적 정책에 힘입어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셀류쿠스가 다스리던 시기, 안티오쿠스 4세가 강제 헬레니즘 정책을 펼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그는 예루살렘 성전에 제우스 신상을 세우고 숭배를 강요했다. 이에 반발이 거세져 마카비를 필두로...2024.09.02
-
어성경2024.09.051. 성경 읽기와 이해 1.1. 성경의 정경화 과정과 배열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성경은 여러 권의 책이 모여 만들어진 것이다. 본래는 한 개씩 따로 있던 두루마리가 어느 계기에 합본이 된 것이다. 성경의 정경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BC587년 구약시대 유대국가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하였다. 이후 페르시아(바사)가 바벨론을 정복하였고,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이 유다 땅을 정복하였다. 알렉산더 대왕의 죽음 후 그의 부하들 중 프톨레미가 이집트와 시리아 일대를 차지하였고, 유대 땅도 프톨레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BC3세기 말,...2024.09.05
-
이방인과 제국주의2024.12.171. 바울의 삶과 사역 1.1. 바울의 유년시절과 교육 바울의 유년시절과 교육은 그의 삶과 신학 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바울은 다소 출신의 유대인으로, 어린 시절부터 유대인들의 전통과 율법을 익혔다. 다소는 행정과 상업의 중심지로, 바울은 그곳의 동네 회당에서 정기적인 교육을 받았다. 바울이 유대인이라는 점은 여러 차례 강조되었는데, 그는 자신이 좋은 바리새인이었다는 점을 누누이 언급했다. 실제로 바울은 스승들의 교훈들을 계속해서 견지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널리 퍼져 있던 철학파 중에서 스토아 철학이 바...202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