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에스겔 37 장 묵상2024.10.081. 말씀 묵상 1.1. 묵상의 정의와 목적 묵상이란 하나님의 말씀이 내 속에 들어와 생명이 되는 것이다"" 기록된 말씀이 생명의 말씀으로 바뀌어져서 내 속사람에게 불어 넣어 주시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성령께서 주시는 계시를 받아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를 나누게 된다"" 묵상의 목적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하나님 자신을 알아가고 하나님과의 교제 속에서 영적인 성장을 이루어 내는 데 있다""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함으로써 하나님의 성품과 뜻을 깨닫게 되고, 이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깊어지며, 삶 속에서 하나...2024.10.08
-
그리스도교와 힌두교의 세계관과 역사2024.09.191. 그리스도교의 세계관과 역사 1.1.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배경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배경은 유대교의 분파로부터 시작되었다. 예수 그리스도가 유대인으로 출생하여 유대인들 사이에서 활동했기 때문이다. 유대교는 기원전 6세기 경 바빌로니아 포로생활 이후 유대 민족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발전해왔다. 이후 기원전 2세기 경 유대인들이 독립을 쟁취하며 하스몬 왕조를 세웠지만, 기원전 63년 로마의 침략으로 다시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대인들 내부에 다양한 분파들이 등장했는데, 예수 그리스도는 바리새파와 대립하며 새로운 종교...2024.09.19
-
제 2 성전기 유대교2024.09.201. 종교와 역사 속의 예루살렘 1.1. 예루살렘의 새벽과 운명의 서막 예루살렘의 새벽과 운명의 서막은 기원 70년 유대 전쟁의 비극적인 최종 결말이었다. 이 전쟁은 로마 제국과 유대인 간의 오랜 갈등의 절정이었으며, 유대인들에게는 끔찍한 참화였다. 당시 로마는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있었다. 50만에 가까운 굶주린 유대인들이 성 안에 갇혀 있었다. 로마군이 성을 공격하면서 예루살렘은 지옥 같은 공격을 받았다. 유대인들은 저항하며 싸웠지만 결국 패배했다. 성전은 파괴되었고, 도시는 약탈당했다. 많은 유대인들이 학살당했고, 생존자들...2024.09.20
-
새관점 학파의 입장2024.09.201. 바울의 구원론 1.1. 구원의 필요성과 죄(罪) 바울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구원의 교리를 제시하고 있다. 죄악(罪惡) 속에 사는 인간에게 있어서 구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바울 신학사상에 있어서 죄(罪)의 정의는 인간 진화과정의 결핍, 주위 환경의 영향, 교육, 기타 지상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죄악(罪惡)의 만연과 그 위력 및 도덕적 비열성을 성명할 수 없다. 즉, 선(善)의 반대가 악(惡)이며, 죄(罪)이다. 바울은 죄(罪)에 대한 실체와 본성을 정의하여 그 기준을 만물의 창조주이신 유일하신 하나님께서 정하신 법을 ...2024.09.20
-
쿰란 공동체 문서2024.09.201. 제2성전기 유대교와 예수 운동의 이해 1.1. 책 소개 '초기 유대교와 예수 운동(Early Judaism: The Exile to the Time of Jesus)'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머피 교수가 2002년에 출간한 책이다. 이 책은 1991년에 출간한 '제2성전기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종교세계(The Religious World of Jesus: An Introduction to Second Temple Palestinian Judaism)'의 개정판이다. 머피 교수는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었으며, 특...2024.09.20
-
요세푸스2024.09.231. 서론 1.1. 디아스포라의 의미와 역사 헬라어 디아스포라의 뜻은 "흩어진 사람들"로서 특히 유대인으로서 팔레스타인 이외의 땅에 이산, 이주되어 있는 자, 또는 그 거주지를 가리키는 술어이다. 북 이스라엘의 멸망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유대인들의 흩어진 공동체는 BC 586년 남 유대의 멸망으로 비로소 그 세계를 넓히게 되었다. 국가의 몰락과 함께 유대인들은 혹은 포로가 되어, 혹은 보다 나은 삶의 환경을 쫓아 자진해서 바벨론으로, 애굽으로, 그리고 또 다른 이방의 세계로 흩어지게 되었고, 신약 시대에는 지중해 전 영역에...2024.09.23
-
새예루살렘2024.10.191. 바울의 생애와 신학 1.1. 바울의 젊은 시절 바울의 젊은 시절은 그가 유대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바울은 자신의 혈통이 베냐민 지파에 속한다고 언급하며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누가는 바울을 길리기아의 헬라도시인 다소에서 태어난 바리새인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는 바울이 유대인이며, 동시에 헬라적 배경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소는 당시 로마, 알렉산드리아와 더불어 로마의 3대 도시 중 하나로 발전한 곳이었다. 이 도시는 자유, 면책, 시민권이 주어졌고 문화와 철학, 교육의 중심지였...2024.10.19
-
세계의종교2024.09.131.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비교 1.1. 유대교의 이해 유대교(Judaism)는 유대인들의 민족종교로, 최초의 아브라함계 유일신교이다. 이 종교는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현대의 유대교는 주로 바리새파 유대교로 전해지고 있다. 유대교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대교는 유일신교로 유대교는 유일한 하나님을 숭배하는 모노시즘 종교이다. 유대교에서 이 유일신은 야훼(Yahweh)라고 불리며, 전능하고 우주의 창조주로 여겨진다. 유대교에서는 다른 신들을 숭배하지 않고 오직 이 하나님만을 경배한다. 둘째...2024.09.13
-
바울서신의 가르침이 오늘날 교회에 적용점2024.10.081. 바울서신 이해하기 1.1. 바울서신의 특징 바울서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바울의 편지들은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한 상황에서 쓰인 서신들이다. 바울은 그들을 그리스도 안에서 사랑으로 맺어진 형제들로 생각했기 때문에 '편지'라는 세계 속에서 사람들과 만나고, 감정을 교감하며, 호소하고 권면하며 설득하고 경고하는 일까지 하였다. 따라서 바울의 모든 편지들은 '러브레터'라고 할 수 있다. 바울 시대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서신들이 사용되었다. 바울은 헬레니즘 시대의 편지 형식들을 사용하면서도 자신의 선교적이며 목회적인...2024.10.08
-
초대교회사2024.09.211. 기독교 역사의 배경 1.1. 유대교적 배경 기독교는 유대교의 뿌리에서 시작했다. 유대교적 배경은 기독교가 탄생하고 발전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먼저, 구약성경은 기독교의 경전이자 뿌리이다. 유대인들에게 주어졌던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과 계시는 그리스도의 오심을 통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구약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약속과 메시야 사상을 다루며, 구원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구약성경의 약속을 성취하신 분으로, 기독교는 구약성경 위에 세워진 종교이다. 둘째, 유대교의 역사와 신학은 기독교에 큰 영향...2024.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