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요한서신 연구와 신약성서 이해2024.10.061. 요한서신의 구조와 신학 1.1. 들어가는 말 많은 사람들이 요한서신 속에서 사용된 어휘의 범위가 좁고 문법적 구조가 제한되어 있어 요한서신의 언어가 쉽다고 생각하지만 요한 1서의 헬라어는 많은 부분에서 두 가지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많은 주석서들조차도 대충 얼버무린 채 지나갈 만큼 그 의미가 모호하다. 본서의 연구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구절들 중 겨우 몇 가지에 대해서만 논의를 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우리는 계속적으로 스스로 자세한 본문 주해를 계속해 가야할 필요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 문헌들을 통해 어떤 가치...2024.10.06
-
신약성서 이해 일반서신 연구2024.10.061. 히브리서 1.1. 저자 이 서신의 저자는 디모데(13:23)와 개인적인 관계가 있는 인물 중에서 찾아보아야 하겠다. 그런데 디모데와 개인적인 관계가 가장 깊은 사람은 바울이다. 그래서 바울 자신이 아니라면 바울의 동역자 가운데서 가능한 인물을 색출해 보아야 하겠다. ① 누가: 사도행전의 문체와 비교하여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래 바울이 히브리말로 기록한 것을 누가가 헬라말로 번역했으리라 했는데 히브리서는 번역문이 아니고 순수 헬라 원작이다. 그리고 신학 사상도 사도행적과는 판이하다. ② 로마의 클레멘트: 일찍이 오리게네스...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