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문화 비평문2024.10.061. 서론 최근 심리학을 다루는 영상이 많아지고 있다. 나 또한 서른이 가까워지자 나의 마음을 챙기는 것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나의 심리적 기제들을 객관화할 수 있어야 좀 더 편안하고 안정적인 중년과 노후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요즘 심리학과 관련된 콘텐츠들을 많이 보고 있는데, 영상들을 보다보면 가끔은 '수박 겉핥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심리를 분석한다는 것은 나의 내면을 스스로 쪼개 보고, 연구 및 관찰해 보아야 가능할까 말까한 것인데 무턱대고 이론만 대입하는 것, 그리고 그에 따른 결과...2024.10.06
-
황금물고기2024.10.201. 서론 한용환은 성장소설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유년기에서 소년기를 거쳐 성인의 세계로 입문하는 한 인물이 겪는 내면적 갈등과 정서적 성장,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각성의 과정을 주로 하고 있는 작품으로서 정신적?육체적인 성장의 과정을 표면적으로 드러내는 소설"로 소설의 하위갈래로 볼 수 있다. 성장소설의 주인공인 유소년기의 미성숙자는 자신의 가치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건들을 마주치고 해결해가며 내면적 성숙을 이룬다. 성장소설의 주인공은 변화하는 양상에서 이항대립 구조를 겪게 되고 타자에 대한 인식을 통해 정서적...2024.10.20
-
자아개념에 대하여 조사하고 자아개념의 구조에 근거하여 본인의 자아개념에 대하여 구체적인 의견2024.10.141. 서론 자아개념이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얼마만큼 이해하는 인식하는지 보여주는 견해 또는 "나는 어떤 사람인가?"와 같은 본인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자신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을 스스로 답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개념 속에 포함되는 다양한 요소는 본인의 능력에 대한 견해만이 아니라, 학문적 배경, 정서적 경험, 사회적 상호작용과 신체적 특성 등을 포함해 형성되며, 이는 청소년기의 학창 시절 학업성취 또는 적응 상태에 밀접하게 관련된다"" 자아개념은 개념을 형성하는 학창 시절뿐만 아니라 성인이 된 사...2024.10.14
-
스몰트라우마2024.09.281. 라비앙 로즈 속의 에디뜨 삐아프 1.1. 에디뜨 삐아프의 유년기 영화 '라비앙 로즈'에서 에디뜨 삐아프의 유년기는 매우 불우했던 것으로 묘사된다. 삐아프는 부모로부터 적절한 양육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었던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그녀의 후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영화 초반부에 삐아프는 거리에서 방치된 채 노부인이나 매춘 가게 여인들에게 말을 걸어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이는 삐아프가 유년기에 형성해야 했던 기본적인 애착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프로...2024.09.28
-
트뤼포2024.11.121. 프랑수아 트뤼포와 영화 「400번의 구타」 1.1. 프랑수아 트뤼포의 자전적 영화 트뤼포는 자신의 불우한 유년기를 바탕으로 「400번의 구타」를 연출하였다. 이 영화는 앙투안이라는 소년의 성장기를 다루고 있는데, 이는 트뤼포 자신의 경험과 매우 유사하다. 트뤼포는 부모의 이혼으로 외할머니댁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애정결핍과 엄격한 제도교육에 대한 염증으로 12살 무렵부터 영화광이 되었다. 15살에는 '영화중독자 클럽'이라는 영화감상 클럽을 결성하는 등 영화에 대한 열정을 드러냈다. 이처럼 트뤼포의 불우했던 유년기가 「...2024.11.12
-
소나기 감상문2024.09.031. 소개 소설 '소나기'는 황순원 작가의 대표작 중 하나로, 시골 출신의 소년과 도시 출신의 소녀 간의 순수한 유년기 첫사랑을 그리고 있다. 작품의 등장인물은 소년과 소녀로만 표현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작가는 이들의 관계를 보편적인 유년기 서정적 사랑의 모습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특히 소녀의 죽음이라는 비극적인 결말은 청춘의 아름답고 순수한 사랑이 길게 지속되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보여준다. 작품에서 소년은 시골에서 자란 건강하고 순수한 소년으로 묘사된다. 반면 소녀는 도시에서 살다 시골로 온 연약하고 청순한 소녀이다. ...2024.09.03
-
이상 날개, 비평2024.09.091. 서론 한국 근대소설 중 가장 많은 비평이 쓰인 작품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작품은 '이상(李霜)'의 「날개」를 꼽을 수 있다. 그 만큼 「날개」는 내용의 난해함과 파격적인 언어 형식으로, 읽으면 읽을수록 작가의 내면세계에 대한 폭넓은 해석을 할 수 있었고, 작가만의 개성이 느껴졌던 독창적인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이상(李霜)'은 지금까지도 많은 논자들에 의해 거론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거론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날개」를 읽으면서 가장 호기심이 생겼던 것은 작품 속의 배경에 대한 해석이었다. 따라서,...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