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가사노동은 가정 내에서 이루어져 생산적인 노동으로 취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만, 직업으로 가사노동을 제공하는 가정부를 놓고 본다면 여타 노동과 동등하게 평가되고 임금 역시 GNP에 산정된다. 우리가 구입한 재화나 용역은 가사노동을 통해 최종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형태가 되는데, 이는 상품의 사용가치나 효용가치를 부가 혹은 창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주부의 가사노동이 임금노동자인 남편의 노동력으로 대상화되어 상품으로 제공되는 남편의 노동력 가치를 높인다는 점에서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노동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와 ...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