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8개
-
추석 인사장2024.09.131. 추석 1.1. 추석이란? 추석은 음력 8월 15일에 치르는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이다. 추석은 농경사회였던 예로부터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연중 최대 명절로, 가을 추수를 끝내기 전에 햇과일과 송편 등의 음식을 차려 조상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하는 절기이다. 추석에는 고향을 방문하여 가족과 함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전통이 있어, 해마다 추석이 되면 전 국민 75%가 고향을 찾아 전국의 고속도로가 정체되는 이른바 "민족대이동"이 일어난다. 추석의 날짜는 하지로부터 73일째 되는 시점으로 정해졌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추석 전날...2024.09.13
-
향가와 고려속요의 구조적 특징의 차이2024.09.151. 향가와 고려 속요의 구조적 특징 1.1. 향가의 구조적 특징 1.1.1. 형식과 구성 향가의 형식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향가는 주로 4구체, 8구체, 10구체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4구체 향가는 가장 짧은 4줄로 이루어진 형식이며, 서동요, 헌화가, 풍요, 도솔가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8구체 향가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모죽지랑가, 처용가, 도이장가 등이 8구체 향가에 해당한다. 가장 발전된 형식인 10구체 향가는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의 4구가 1장, 다음 4구가 2장, 마지막 2구가 3장...2024.09.15
-
칸트철학의우회로2024.09.201. 서론 1.1. 중국에 대한 서양의 관심 중국에 대한 서양의 관심은 15-16세기 지리상의 발견으로 인한 전 지구적 탐험여행과 그 결과로 일어난 유럽의 정치 경제적 힘의 팽창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는 유럽인들이 자신들의 땅에서 일어나는 혁명적인 변화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해 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해양지역을 탐험하고, 교역과 상업분야에서 급속한 팽창의 기반을 닦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팽창의 동기는 르네상스에 의해 생겨난 새로운 지적 개방성과 호기심, 이슬람 세계를 우회하여 동양으로 가는 무역 로를 찾고자 하는 필요성, 그리고 종교...2024.09.20
-
성균관대 답사2024.09.211. 성균관의 개요 1.1. 성균관의 의미와 역사 성균관은 조선시대 최고의 국가 교육기관이었다. 그 이름의 의미는 "인재를 이루어 풍속을 고르게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성균관의 역사는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 충렬왕 때인 1289년에 당시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국자감(國子監)의 명칭을 '성균'이라는 말로 개칭하면서 시작되었다. 충숙왕대인 1308년에는 '성균관'으로 개칭되었고, 공민왕대에는 국자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362년에 다시 성균관이 되었다. 조선 건국 이후에도 성균관이라는 명칭이 그대로 유지되어,...2024.09.21
-
논어2024.09.141. 논어 소개 1.1. 논어의 정의와 특징 논어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나눈 대화를 모아놓은 책으로, 동양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대표적인 고전이다. 논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논어는 간략한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 내용과 의미는 매우 깊이가 있다. 공자의 사상과 교훈이 압축적으로 담겨있어 이를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성찰이 필요하다. 특히 공자의 핵심사상인 "인", "예", "충서" 등의 개념은 단순히 외형적인 행동이 아닌 내면의 도덕성과 수양을 강조하고 있어 그 의미가 매우 깊다. 둘...2024.09.14
-
전통사회와 생활문화2024.09.101. 조선시대 양반의 일생 1.1. 양반의 일반적인 삶 1.1.1. 유년기 교육 조선시대 양반의 유년기 교육은 다음과 같다. 양반의 자녀들은 어려서부터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고, 유학과 성리학의 기초를 공부했다. 서당은 조선시대의 기본적인 교육 기관으로, 한문과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특히 천자문, 동몽선습 등을 배웠으며, 예절과 교양을 쌓기 위한 다양한 교육을 받았다. 이처럼 양반 가문의 자녀들은 유년기부터 유교적 가치관과 학문적 기초를 차근차근 쌓아 나갔다. 이는 후에 과거 응시와 관료 진출, 향촌에서의 위상 확립으로 이어...2024.09.10
-
지붕없는교회2024.09.301. 한국 종교와 문화: 자천교회의 역사와 문화적 의의 1.1. 유교 배경 연구 1.1.1. 유교의 통(統) 원리 유교의 통(統) 원리는 한국인의 사회윤리를 결정한 핵심원리이다. 유교에서 통의식은 사물의 통일과 질서를 가능하게 해주는 포괄적 규범으로서 가족과 교육과 국가의 모든 영역에서 일관된 통합을 담보해주었다. 첫째, 통의식은 아버지의 혈통을 통해서만 계승되는 원리로 생각되었다. 건원이 천지만물을 낳는 생명의 출발점으로 우주를 대표하는 통체이듯이 부(父)는 자녀를 낳는 생명의 출발점으로 가정을 대표하는 통체였다. 둘째...2024.09.30
-
한국한문학의 이해2024.09.291. 한국 한문학의 이해 1.1. 한국한문학의 특성 한국한문학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한문학은 유교 및 한자 문화권에 속한 국가인 한국에서 창작된 한문 문학이다. 한국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유교 및 한자 문화권에 속한 국가로서, 이러한 유교적 가르침을 담고 있는 한문 고전을 중국으로부터 다수 흡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 고유의 사상과 감정을 다시 한문으로 창작함으로써 다수의 한문시와 한문산문을 생산해 냈다. 따라서 한국한문학은 단순한 문학 작품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유교"라는 당대의 사회, 정치,...2024.09.29
-
조선시대교육제도2024.09.291. 조선시대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1.1. 조선시대 교육제도 1.1.1. 관학 1.1.1.1. 성균관 성균관은 조선왕조의 국립 최고고등교육기관이었다. 성균관은 고구려에서는 국학, 신라에서는 태학이라 불리다가 고려시대에 처음으로 국자감이라 칭해졌으며, 그 후 성균관으로 불리었다. 태조 7년(1398)에 현재의 성균관대학교가 있는 숭교방에 건립되었다. 성균관의 주된 교육목적은 인재양성, 선현·선성에게 제사지내는 것, 고급관리 배출 등이었다. 성균관의 주요 시설로는 문묘, 명륜당, 존경각, 계성사, 비천당, 육일각, 일양재, ...2024.09.29
-
철학의 쓸모와 동양철학의 특징2024.09.291. 동양화의 사상적 배경 1.1. 유교, 불교, 도교의 영향 동양화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모든 동아시아 지역의 회화를 통칭하는데, 이러한 동양화에는 동양의 역사 발전 과정 속 주된 사상적 배경인 유교, 불교, 도교가 깊이 반영되어 있다. 먼저 유교의 사상적 영향을 살펴보면, 유교의 회화관은 "그림을 좋아하면 회화 속에 있는 진의를 즐거워해야 한다"는 공자의 주장에 기반한다. 즉, 화가는 감상자에게 깊은 내면세계를 깨닫게 해주는 희열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동양화의 유교적 철학 이념으로 이어져, 최고의 미(美)와 최...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