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위화도 회군2024.11.041. 위화도 회군의 배경과 의의 1.1. 고려말 원 및 명과의 관계 고려말 원 및 명과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였다. 공민왕 시대에는 친원정책을 버리고 반원정책을 펼치면서 자주성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나, 공민왕의 사망 이후 강화된 보수 세력에 의해 친원정책이 다시 추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들은 고려와 명나라의 관계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공민왕은 즉위와 동시에 고려가 자주국가임을 강력히 천명하며 반원정책을 펼쳤다. 원나라에 휘둘리던 고려의 내정을 장악하기 위해 원나라 세력인 기철, 권겸, 노책 등을 숙청하고, 원나...2024.11.04
-
사도세자에대해 승정원일기는 어떻게 기록되었는지2024.11.201. 서론 1.1. 사도세자 연구의 배경 사도세자 연구의 배경은 그의 삶과 죽음을 둘러싼 관심과 의혹에서 비롯된다. 영화 '사도'의 개봉을 계기로 사도세자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높아졌는데, 특히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된 주장들이 대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권력과 인간이라는 책에서 제기된 사도세자의 광증설과 당쟁희생설은 그동안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한 주요한 해석이었다. 광증설은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을 근거로 하는데, 이에 따르면 사도세자는 어린 시절부터 영조의 가혹한 교육으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광증에 걸렸고,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