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생리학 소화2024.10.131. 소화계의 구조 1.1. 소화계의 전체 길이와 구성 소화계의 전체 길이는 약 8~9m이며, 입에서 시작하여 항문에 이르는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은 크게 입, 구인두, 식도, 위, 작은창자(소장), 큰창자(대장)로 구분된다. 작은창자는 위에서 이어지는 샘창자(십이지장), 빈창자(공장), 돌창자(회장)로 이루어진 약 6m의 관으로 되어 있으며 식품의 소화와 영양분 흡수가 주요 기능이다. 점막 표면에 주름이 많고 미세융모가 덮여 있어 효율적인 소화와 흡수가 가능하다. 큰창자는 약 1.5m의 길이로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2024.10.13
-
반추동물2024.08.281. 동물의 소화기관과 소화작용 1.1. 단위동물의 소화기관과 소화작용 1.1.1. 입과 식도 단위동물의 입(mouth)은 섭취하고, 혀와 이빨을 이용하여 사료를 잘게 부수는 기계적인 기능과, 타액선에서 분비되는 타액과 사료를 혼합시키는 일을 한다. 이때 잡식동물인 사람과 개, 돼지 등은 앞니로 물어뜯고 어금니로 저작하며, 육식동물의 경우에는 송곳니로 사료를 물어뜯어 찢고, 저작을 하며 단단한 음식물을 부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입에서는 타액을 분비하며, 타액에는 amylase가 있어서 전분과 이당류를 maltose와 gluc...2024.08.28
-
일반외과 case2025.04.011. 문헌고찰 1.1. 위의 해부생리 위는 볼록하고 앞뒤로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근육성 기관이다. 위벽으로부터 위액(gastric juice)을 분비하여 음식물을 섞고 소화 작용을 촉진시켜 소장으로 보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위의 용적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 1.0~2.5ℓ로 다양하며, 그 위치는 복강 위쪽부분에서 정중선보다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위는 저부(fundus), 체부(body), 유문부(Pylorus)로 구분되고 십이지장과 연결된다. 위의 양쪽 끝은 괄약근으로 되어 있으며 식도 부분의 입구쪽을 분문괄약근(card...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