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식도염문헌고찰2024.09.251. 역류성 식도염 1.1. 정의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불편감을 총칭하여 일컫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이야기되는 식도염은 대부분 이에 속하며, 비만, 음주, 흡연 등이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1.2. 병태생리 1.2.1. 위식도 역류의 원인 일반적으로 위식도 역류의 가장 큰 원인은 하부식도조임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의 기능저하이다. 정상적인 LES는 식도와 위의 경계 부위에 위치하여 ...2024.09.25
-
아동간호학위식도역류질환2024.09.291. 서론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GERD)는 현대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으로 최근 그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많은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성인에게도 많은 불편감을 야기하며 여러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를 요하는 현재 많이 대두되는 질병이지만, 특히 위, 식도가 미성숙하고 매일 수유를 하는 신생아에게 있어 매우 눈여겨 보아야 할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출생 직후 몇 개월간은 50%의 아이들이 반복적으로 구토나 올리는 증상이 있으며 10~12개월까지도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은 상태에...2024.09.29
-
소화기내과 통증 SBAR2024.11.141. 서론 1.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현대인의 생활 습관이 지속적으로 서구화되면서 고지혈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동시에 급성 췌장염의 발병률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급성 췌장염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경우 60%의 사망률을 보이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따라서 이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발병 빈도가 높은 급성 췌장염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자의 임상증상을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하고자 함이다. 2. SBAR 의사소통 도구 적용 사례 2.1. S (Situation) 소속 부서 간호사...2024.11.14
-
위식도 역류 질환 간호과정2024.12.021. 위식도 역류질환 1.1. 구조와 기능 1.1.1. 식도 식도는 직경 2cm, 길이가 약 25cm 정도의 긴 근육성 관으로, 횡격막의 중심을 관통하며 음식이 지나가는 통로이다. 식도 상부는 음식물이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하고, 식도 하부는 평활근(민무늬근육)으로 구성되어 음식물을 위로 밀어 넣는 기능을 한다. 식도 중간부위에는 샘이 있어 점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이 식도를 부드럽게 통과하도록 해준다. 식도에는 상부식도괄약근과 하부식도괄약근이 있는데, 상부식도괄약근은 호흡 중 공기가 식도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닫혀...2024.12.02
-
위식도역류질환 간호진단2024.10.301. 위식도 역류 질환 1.1. 정의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 내용물이 소량씩 식도로 역류하고, 이러한 역류의 과정이 반복되어 식도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는 위와 식도 사이에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주는 조임쇠 역할을 하는 괄약근에 이상이 생겨서 발생한다. 1.2. 발병 원인 및 병태생리 위식도 역류 질환의 발병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위 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은 정상인에게도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날 수 있지만 역류가 자주 발생하고 그 기간이 길어지면 역류 증상과 ...2024.10.30
-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22, 8판 요약본>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국인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 동반 질환 위험도’를 설명2024.10.131.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측정 및 비만 여부 판정 1.1. 체질량지수 계산 및 수치 제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개인의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비만 지표이다. 체질량지수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즉, BMI = 체중(kg) / (키(m) × 키(m))이다. 이러한 체질량지수 계산식을 활용하여 평가대상 여성의 체질량지수를 산출해보면 다음과 같다. 평가대상 여성의 키는 1.53m이고 체중은 48kg이므로, BMI = 48 / (1.53 × 1.53) = 2...2024.10.13
-
위식도역류질환 간호과정 레포트2024.11.2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GERD(위식도 역류질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09~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위-식도 역류병(K21)'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2009년 256만 8천명에서 2013년 351만 9천명으로 4년 동안 37% 증가하였다. 또한 2015년 노인 65세이상만 보았을 때 100위중 81순위였으며 외래를 통하여 진료한 수는 33,019으로 8순위에 속했다. 현재 GERD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더욱 많이 나타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2024.11.23
-
상부위장관출혈2024.11.031. 상부위장관 출혈 1.1. 개요 상부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이는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이 손상되어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피를 토하는 토혈(hematemesis)이나 새까만 변을 보는 흑변(melena)의 증상이 나타나며, 약 1,000cc 이상의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으면 혈변(hematochezia)이 나타나게 된다. 상부 위장관은 식도에서 시작하여 십이지장까지를 포함하며,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모두 상부 위장관 출혈이라고 한다. 식도는 인두에...2024.11.03
-
소화성 궤양 출혈 간호과정 불안2024.11.111. 상부 위장관 출혈 1.1. 개요 및 해부학적 구조 1.1.1. 상부 위장관의 범위 상부 위장관의 범위는 식도, 위, 십이지장으로 정의된다. 상부 위장관은 입에서 시작하여 트라이츠 인대(Treitz ligament)에서 끝나는 구간을 말한다. 식도, 위, 십이지장은 모두 상부 위장관에 속하며,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출혈은 상부 위장관 출혈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위장관의 범위를 살펴보면, 식도는 인두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연결되는 약 25cm 길이의 소화기관이다. 식도는 다른 장기에 비해 비교적 곧은 구조를 가지...2024.11.11
-
위산역류에 의한 식도자극과 관련된 급성통증2024.11.211. 위식도 역류질환(GERD) 1.1. 정의 및 특징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 내용물이 소량씩 식도로 역류하고, 이러한 역류의 과정이 반복되어 식도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는 위와 식도 사이에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 주는 조임쇠 역할을 하는 괄약근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게 된다. 1.2. 원인 위식도 역류질환의 원인은 하부식도 괄약근의 부적절한 이완으로 생각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역류가 일어나게 된다. 첫째, 위 내용물의 양적 증가이다. 식후나...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