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상부2024.10.081. 상부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1.1. 상부위장관의 구조 상부위장관은 구강, 식도, 위, 십이지장을 포함하고 있다""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이며, 미각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가 있다. 구강 상부는 연구개와 경구개로 이루어져있으며 구강 저부에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 악하선, 이하선을 포함하며, 이하선이 가장 크다. 혀에는 미뢰를 포함해 유두라는 작은 돌기들이 있다"" 식도는 성인의 경우 길이가 약 20cm, 지름 약 2.5cm인 관으로 구강으로 들어온 음...2024.10.08
-
식품영양 임상영양학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 측정과 에너지 섭취분율 분석2024.10.041.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측정 및 평가 1.1. 체질량지수 계산과 비만, 복부비만 여부 판정 평가대상 정보: 성별은 여성이며, 키는 1.53m, 체중은 48kg이다. 체질량지수(BMI) 계산 결과, 48kg/(1.53m x 1.53m) = 20.5kg/m²로 나타났다. 2022년 대한비만학회 기준에 따르면, 체질량지수가 18.5 - 22.9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정상 체중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여성은 정상 체중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허리둘레는 26인치(약 66cm)로 측정되었다. 복부비만의 기준은 여성의 경우 허...2024.10.04
-
위식도역류질환 문헌고찰2025.04.241. 서론 1.1. 위식도역류질환의 정의 및 개요 위식도역류질환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 안쪽으로 타는듯한 통증이나 쓰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정상적으로는 식도와 위 사이에 있는 식도 조임근이 음식을 삼킬 때와 트림할 때만 열리고 평상시에는 닫혀 있어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고 있다. 그러나 식도 조임근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부적절하게 열리게 되면 위액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게 된다. 이를 위식도역류라고 한다.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위식도역류질환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는...2025.04.24
-
한방간호실습2025.05.021. 한방간호실습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는 91세 여성으로, 2023년 5월 19일 발병하여 2023년 5월 24일 입원하였다. 주 진료과는 내과2이며, 진단명은 어지럼증과 한방변증 담음현훈이다. 과거력으로는 10년 전 고혈압을 진단받고 약물 치료 중이며, 3년 전 위식도역류질환을, 10년 전 호흡곤란을 진단받았다. 2년 전에는 대상포진을 진단받았다. 상기 증상으로 2023년 5월 19일 local 한의원에서 침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2023년 5월 22일 강릉 소재 병원에서 이비인후과 검사를 받았으나 별다른...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