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생리학 소화2024.10.131. 소화계의 구조 1.1. 소화계의 전체 길이와 구성 소화계의 전체 길이는 약 8~9m이며, 입에서 시작하여 항문에 이르는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은 크게 입, 구인두, 식도, 위, 작은창자(소장), 큰창자(대장)로 구분된다. 작은창자는 위에서 이어지는 샘창자(십이지장), 빈창자(공장), 돌창자(회장)로 이루어진 약 6m의 관으로 되어 있으며 식품의 소화와 영양분 흡수가 주요 기능이다. 점막 표면에 주름이 많고 미세융모가 덮여 있어 효율적인 소화와 흡수가 가능하다. 큰창자는 약 1.5m의 길이로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2024.10.13
-
위암 문헌고찰2024.09.011. 위암의 병태생리 1.1. 정의 및 분류 위암이란 위에 생기는 암을 두루 이르는 말이다. 위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은 위선암(adenocarcinoma)이며 이 외에도 드물게 위의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림프종(lymphoma), 위의 간질세포에서 발생하는 간질성 종양(gastrointestinal tumor), 비상피성 조직에서 유래하는 육종(sarcoma), 그리고 호르몬을 분비하는 신경내분비암(neuroendocrine tumor)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위선암은 위점막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것이며 현미경에서 관찰되는 모...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