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위장관출혈 시뮬레이션2024.09.121. 위출혈 환자 간호 사례 1.1. 사례 개요 대상자는 평균 신장과 체중을 유지하고 있는 73세 남성으로, 급성 오심 및 구토 증상으로 내원하여 입원하였다. 대상자는 소화기내과 전문의와 상담 후 위장관 출혈을 진단받았다. 대상자는 진통제 정맥투여 처방이 내려졌고, 금식상태이며 호흡곤란도 관찰되고 있다. 대상자의 정신 상태는 정상이며, 아들과 함께 1층 다가구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 대상자는 음주나 흡연을 하지 않는다. 내원 당시 활력징후는 V/S 130/60 ? 65 ? 14 ? 37.0°- SPO2 85%로 확인되었다. 1....2024.09.12
-
내시경간호2024.10.151. 내시경의 정의와 종류 1.1. 내시경의 정의 내시경(Endoscopy)은 수술을 통해 우리 몸을 절개하지 않고도 직접 눈으로 조직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직검사, 세포학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도 가능하고, 비정상적인 병변을 제거할 수도 있어 검사적 목적과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즉, 내시경은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1.2. 내시경의 종류 내시경의 종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2024.10.15
-
소화성 궤양 출혈 간호과정 불안2024.11.111. 상부 위장관 출혈 1.1. 개요 및 해부학적 구조 1.1.1. 상부 위장관의 범위 상부 위장관의 범위는 식도, 위, 십이지장으로 정의된다. 상부 위장관은 입에서 시작하여 트라이츠 인대(Treitz ligament)에서 끝나는 구간을 말한다. 식도, 위, 십이지장은 모두 상부 위장관에 속하며,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출혈은 상부 위장관 출혈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위장관의 범위를 살펴보면, 식도는 인두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연결되는 약 25cm 길이의 소화기관이다. 식도는 다른 장기에 비해 비교적 곧은 구조를 가지...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