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사슴태반2024.09.141. 정상 분만 1.1. 분만의 정의 분만은 크게 제왕절개와 자연 분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수술하지 않고 질을 통해 태아가 만출되면 자연 분만이다. 자연 분만은 진통이 시작되고 나서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게 되는 1기,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나서 태아가 만출되기까지의 2기, 태아 만출 후 태반이 나올 때까지의 3기, 태반이 만출까지 이루어진 뒤 분만 후 1시간 동안을 4기로 나누게 되고, 양막 파열이나 혈성 이슬 등은 분만 진통 중 혹은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도 나타날 수 있다. 1.2. 분만의 요소 1.2.1. 산도(Pass...2024.09.14
-
자궁근종과 관련된 간호진단을 써줘2024.09.291. 자궁근종 개요 1.1. 정의 자궁근종은 자궁의 양성 즉, 암이 아닌 종양으로 여성 생식기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자궁근종은 자궁의 근육 세포들로부터 자라나 생기는 혹으로, 크기, 모양, 위치가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자궁내막 쪽에 생기는 경우도 있고 바깥쪽이나 근육 사이에 위치하기도 하며 대롱대롱 매달린 상태의 혹도 있을 수 있다. 크기 또한 직경 1cm보다도 작은 것부터 임신 5-6개월 크기의 커다란 자궁근종까지 매우 다양하다. 자궁근종은 하나만 있기도 하지만 여러 군데에 생기기도 하며,...2024.09.29
-
자궁근종 a2024.11.061. 자궁근종(Myoma of the Uterus) 1.1. 발생 원인 및 위험 요인 자궁근종(Myoma of the Uterus)의 발생 원인 및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자궁근종은 정확한 발생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에스트로겐에 의존하여 근종이 성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난소의 기능이 왕성할 때 근종이 잘 자라고 초경 이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발생이 드물며, 특히 폐경기 이후에는 근종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즉, 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발생과 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험 요...2024.11.06
-
TAH 케이스2025.02.011. 서론 자궁근종은 자궁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질환이다. 35세 이상 여성의 약 20%가 자궁근종을 앓고 있으며, 특히 기혼 여성의 경우 40-50%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다. 자궁근종은 여성 호르몬에 의해 크기가 증가하므로, 초경 전이나 폐경 후에는 발병은 하나 성장이 드문 질환이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경우에 따라 비정상적 자궁출혈, 월경이상, 빈뇨, 변비, 불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자궁근종의 치료로는 약물 치료와 외과적 치료가 있으며, 개별 환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선택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T...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