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기부금 영수증 발급명세서2024.10.241. 연말정산 1.1. 연말정산이란?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을 포함한 종합소득이 있는 자는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발생한 소득을 다음연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개인별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하여야 하는 것이나, 세금징수 편리함, 세수의 평균화, 근로자의 확정신고의 번거로움을 덜어주기 위하여 매월 급여에서 국세청 간이세액표에 의해 세금을 제하고, 다음해 1월에 정확히 세금을 계산하여 정산하는 제도이다. 근로소득만이 있는 자에 대하여 근로소득을 지급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가 근로소득세 연말정산을 하는 경우 근로자 ...2024.10.24
-
주택신축판매업자 취득세2024.10.211. 국민이 내는 세금과 세금을 내야하는 이유 1.1. 국민이 내는 세금 1.1.1. 국세 국민이 내는 세금 중 국세에는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교통·에너지·환경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교육세, 농어촌특별세, 관세 등 총 14가지의 세금이 있다. 소득세는 개인이 벌어들인 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는 세금이며, 법인세는 법인이 벌어들인 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는 세금이다. 상속세는 돌아가신 부모님 등으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과세대상으로 하고, 증여세는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2024.10.21
-
퇴직금원천징수2024.12.301. 일용근로자 근로소득세 징수·납부 1.1. 일용근로자 개요 일용근로자란 근로를 제공한 날 또는 시간에 따라 급여를 계산하거나 근로를 제공한 날 또는 시간의 근로성과에 따라 급여를 계산하여 지급받는 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건설공사 종사자, 하역(항만)작업 종사자가 아니며, 3개월 미만 단기간 동안 특정 고용주에게 고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용근로자의 경우 근로계약 기간이 3개월 미만이므로 일당제로 근로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보수를 지급받는다. 이들은 일반 상용근로자와 달리 계약기간이 1년 이상 장기인 경우가 드물며, 매일...2024.12.30
-
레포트2024.12.081. 소득세 및 근로소득세 1.1. 소득세의 정의와 구분 소득세는 개인의 소득에 대하여 과세하는 직접세이다. 소득세는 개인소득세와 법인소득세로 구분할 수 있다. 개인소득세는 개인의 종합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에 대해 과세하는 것이다. 법인소득세는 법인의 순이익에 대해 과세하는 것으로 법인세법에 따라 부과된다. 개인소득세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근로소득세이다. 근로소득세는 근로계약에 따라 근로를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인 근로소득에 대하여 과세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사업소득이나 기타소득은 독립...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