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체르노빌2024.10.071. 원자력 에너지 1.1. 원자력에너지의 역사 원자력에너지의 역사는 방사선의 발견에서 시작되었고, 핵물리학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1896년 프랑스의 과학자 베크렐은 사진을 현상하던 중 우연히 우라늄 광석으로부터 X선과 같이 투과력이 강한 방사선이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세기에 들어와서 물질의 구조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이 축적되고, 아인슈타인의 '질량 에너지 등가 원리(E=mc2)'라는 유명한 등식이 등장하였다. 1913년 보어는 원자는 그 중심에 양의 전기를 갖는 작은 핵이 있다고 생각하는 "러더퍼드의 유핵원자이론...2024.10.07
-
한국사회 정치와 관련된 탈원전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비판2024.11.231. 원자력 발전의 현황과 쟁점 1.1. 원자력 발전의 도입과 발달 원자력 발전의 도입과 발달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가 원자력 에너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우리나라의 에너지 상황은 매우 열악했다. 1948년 북한이 우리나라에 대한 송전을 중단했을 때만 해도 발전 설비가 전무했다. 이에 미국이 발전 군함을 부산항에 정박시켜 전력을 공급했다.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는 원자력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인 워커 시슬러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시슬러는 자신이 정부에서 일할 때 건조된 발전함을 긴급히...2024.11.23
-
체르노빌의 사고 원인2024.08.301. 체르노빌 원전사고 개요 1.1. 사건 발생 배경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발생 배경은 다음과 같다. 사건 당시 소련의 체르노빌 발전소는 총 4기의 원자로를 운용 중이었고, 2기의 원자로를 추가로 짓고 있었다. 그 중 사고가 일어난 체르노빌 발전소의 원자로 4호기에서 비상 발전 전원이 들어오기 전까지 터빈의 관성력으로 얼마만큼 발전이 가능한 지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던 중 발생하였다. 이 실험은 전력공급이 끊기는 상황에서 원자로 안전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사고 당시에는 사회주의 국가체제에 있었던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이 설계...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