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세균의 내성 획득과정2024.10.121. 항생제 내성 1.1. 항생제 내성의 정의와 발생 과정 항생제 내성이란 미생물이 항생제에 노출되었음에도 특정 항생제에 저항력을 가지고 생존하는 능력을 말한다. 항생제 내성은 미생물이 항생제에 선택압력을 받으면서 발생하게 된다. 감염이 되었을 경우 많은 세균들 중 일부만이 내성균인데, 항생제에 민감한 세균은 죽지만 내성을 가진 일부 내성균은 제거되지 않고 살아남는다. 즉, 내성균은 살아남아서 선택적 압력을 통한 증식을 하며 일부 내성균은 다른 균에 내성 유전자를 전달하기도 한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든 사람이 항생제를 복용...2024.10.12
-
MRSA감염환자 관리지침2024.10.091. 다제내성 원내감염균 개요 1.1. 다제내성균 정의 다제내성균이란 항생제 내성이 한 가지 약제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약제들에 대하여 내성을 갖게 되는 감염균을 말한다. 즉, 항생제나 화학요법제에 대해 여러 가지 내성을 갖고 있어 감염 치료가 어려운 미생물을 의미한다." 1.2. 다제내성균의 종류 1.2.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는 그람양성알균인 황색 포도알균 중에서 메티실린, 옥사실린 등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를 말한다. MRSA는 1961년 영국...2024.10.09
-
다제내성 원내감염균2025.03.251.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정의와 특성 다제내성균이란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세균이다. 이러한 세균은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 지정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카바페넴 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등 6가지가 있다. 이들 다제내성균은 병원 환경에서 주로 문제가 되며, 항생제 ...2025.03.25
-
감염관리 교육일지2025.03.131. 서론 1.1. 의료관련 감염의 정의 및 특성 의료관련 감염이란 원내감염(병원감염, nosocomial 또는 hospital infection)이며 입원 시에는 감염도 잠복도 되지 않았으나 병원이나 의료 시설에서 감염되는 것이다. 또한 병원에서 감염되었으나 퇴원 후에 발병한 것도 포함하며 대부분 입원 48시간 후에 감염 소견을 나타낸다. 주로 의료행위가 이루어지는 곳에서 발생하며 병원, 가정간호, 재활센터, 의원 등 모든 곳에서 발생이 가능하며 감염성 질환의 특성상 환자뿐만 아니라 환자를 돌보는 의료종사자, 가족, 간병인 등에...2025.03.13
-
아동 로타바이러스 간호과정2025.03.221. 서론 1.1.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특성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오염된 음식 또는 물의 섭취, 사람들 사이의 오염이 감염성 위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고위험집단은 보육원, 유치원, 오랫동안 육아시설에 맡겨진 아동과 인체 면역력이 약화된 아동들이며 로타바이러스는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로 5세 미만 아동 사이에 설사로 인하여 사망하는 아동의 29%를 차지한다. 로타바이러스 감염 후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증상이 없어진 후 10일까지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존재하며 감염된 사람이 증상을 보...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