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
축의 비틀림 진동수의 측정2024.10.081. 서론 1.1. 배경 및 목적 Flywheel이 부착된 축의 한쪽 끝은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은 자유로운 1자유도의 비틀림 진동계를 구성한다. 이번 실험은 이 축의 비틀림 진동수를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관성 모멘트를 이용하여 구한 이론치와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비틀림 진동의 특성과 측정 방법을 이해하고자 한다. 비틀림 진동은 강체가 특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변위는 각 좌표로 표현되며, 복원 모멘트는 탄성 부재의 비틀림에 의한 것이거나 힘이나 우력에 의한 불균형 모멘트에 의...2024.10.08
-
수치해석 조선대2024.10.211. 비선형방정식의 근 계산 1.1. 문제 소개 번지 점프 시(척추손상의 방지를 위해서) 항력계수가 0.25[kg/s]로 주어질 때, 자유낙하 4초 후에 낙하 속도가 36[m/s]을 초과하는 질량은 얼마인가라는 문제가 제시되었다. 이는 번지 점프와 관련된 비선형방정식의 근을 구하는 문제이다. 주어진 조건과 식을 활용하여 문제의 해를 찾는 것이 목표이다. 1.2. 문제의 근을 구하기 위한 방정식 문제의 근을 구하기 위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운동방정식(Newton의 제 2 법칙)은 v(t)=√(gm/cd) tanh(√(gcd/m)...2024.10.21
-
인하대학교 기계공학 실험 능동진동 보고서2024.10.16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외력에 의해 가진되는 진동을 강제진동이라 하며, 외력을 받는 시스템은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감쇠 효과로 인해 자유 진동이 사라지고 정상 상태의 진동은 초기 조건이나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관계없이 외력과 동일한 진동수(가진 주파수)로 진동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사각 단면 보에 사인파 형태의 외력을 가하여 강제진동을 시키고, 응답이 가진주파수와 같은 진동수로 진동하는 것을 관찰하며,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공진이 일어날 때의 진동수를 비교할 수 있다. 1.2. ...2024.10.16
-
중력가속도 자유 낙하 운동 실험 보고서2024.11.031. 자유 낙하 실험 1.1. 실험 목적 지구 표면에서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이론값과 비교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자유 낙하 운동을 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중력가속도라고 하며, 이는 물체의 질량과 상관없이 약 9.8m/s2의 값을 가진다. 이번 실험을 통해 자유 낙하 운동에서 물체의 낙하거리와 낙하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력가속도의 값을 산출하여 이론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유 낙하 운동에 관한 운동방정식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실험 이론 1.2.1. 자유 낙하...2024.11.03
-
조선대 수치해석2024.11.181. 비선형방정식의 근 비교 및 평가 1.1. 문제 소개 번지 점프 시 (척추손상의 방지를 위해서) 항력계수가 0.25[kg/s]로 주어질 때, 자유낙하 4초 후에 낙하 속도가 36[m/s]을 초과하는 질량은 얼마인가?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운동방정식인 v(t)=sqrt(gm/cd)tanh(sqrt(gcd/m)t)를 통해 질량에 관한 방정식 f(m)=sqrt(gm/cd)tanh(sqrt(gcd/m)t)-v(t)=0을 도출할 수 있다. 이 식을 만족하는 질량을 찾으면 자유낙하 4초 후에 낙하 속도가 36[m/s]을 초과하는 질량을 ...2024.11.18
-
조선대 수치해석2024.12.191. 문제 소개 1.1. 비선형 방정식 번지점프 관련 비선형 방정식의 도출이다. 제공된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번지점프 문제에서 구해야 할 변수는 질량(m), 중력(FD), 속도(v), 낙하시간(T), 공기저항력(FU)이다. 이 변수들을 고려하여 시간에 대한 속도 미분방정식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dv} over {dt} = {F _{D} +F _{U}} over {m} 여기서 FD는 m*g이고 FU는 cd*v^2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dv} over {dt} = {mg`-`c _{d} v ^{2}}...2024.12.19
-
힘의 평형2025.03.251. 힘의 평형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힘의 평형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을 구하고, 정역학적인 여러 힘의 평형 조건을 해석법에 의해 분석하는 것이다. 물체에 힘이 작용하고 있고, 물체가 정지를 계속하고 있는 상태를 힘의 평형상태라고 한다. 이 경우 작용하고 있는 힘의 합력은 0이 된다. 여러 힘을 받는 물체가 평형상태에 있으려면 정역학적(정적, 선형적) 평형상태, 정지 또는 등속직선 운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외력의 합이 0이 되어야 하고, 동역학적(동적, 회전적) 평형상태, 즉 정지 ...2025.03.25
-
물리실험2025.03.261. 실험 개요 1.1. 물리진자 실험의 목적 물리진자 실험의 목적은 진동하는 물리진자의 운동을 관찰하여 선형의 단순조화운동으로 근사할 수 있는 조건과 비선형 효과를 고려해야 할 경우를 알아보고 그 주기를 측정하여 이론식과 비교하는 것이다. 실의 길이와 진폭을 변화시키면서 진자의 주기를 측정하고 차이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단진자는 질량 m인 물체가 길이 L인 줄에 매달려 단진동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가볍고 늘어나지 않는 줄에 매달려 있는 점 질량으로 되어 있는 이상화된 운동이다. 줄의 수직인 방향의 힘이 질점을 평형 위치로 되...2025.03.26
-
시립대 마찰력2025.04.091. 서론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물체의 질량, 접촉면의 면적 및 크기와 마찰계수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뉴턴의 운동법칙을 통해 두 물체의 접촉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로부터 물체의 질량, 접촉면의 면적 및 크기가 마찰계수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1] 물체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움직이기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필요한데, 이는 물체와 표면 사이의 정지마찰력 때문이다.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커짐에 따라 정지마찰력은 증가하다가 임계값을 넘어서면 물체가 움직이게 되고, 이때부터...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