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물리학 총정리2024.09.121. 운동 역학 1.1. 고전 역학 1.1.1. 운동량과 충돌량 탄성 충돌이든 비탄성 충돌이든 충돌 전후 운동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두 물체가 충돌하면 각 물체의 운동량 변화량의 합이 0이 되는 것이다. 이를 운동량 보존 법칙이라고 한다. 반발 계수는 충돌 전후의 운동량 변화로부터 정의된다. 반발 계수 e는 충돌 전후의 속도 성분비로 정의되며, e = (v2cosθ2) / (v1cosθ1)로 표현된다. 여기서 v1, v2는 각각 충돌 전후의 속도이고 θ1, θ2는 각각 충돌 전후의 운동 방향을 나타...2024.09.12
-
전기력선의 성질에 대하여 서술2024.09.161. 물리학Ⅱ 교과 운영 계획 1.1. 역학적 상호 작용 1.1.1. 힘의 합성 평면 상에서 여러 가지 힘이 작용할 때 힘의 합성은 벡터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평면상의 힘의 합성은 크기와 방향을 고려해야 하므로 벡터의 해상과 합성의 원리를 사용한다. 두 개의 힘 A와 B가 작용할 때, 이들 힘의 합은 A와 B를 머리에서 꼬리로 차례로 배열한 뒤 그 선분의 길이와 방향이 된다. 이때 A와 B의 크기와 방향이 다르면 합성력의 크기와 방향도 달라진다. 여러 힘이 작용할 때도 같은 원리로 벡터의 합성을 이용하여 알짜힘을 구...2024.09.16
-
국민대 물리실험22024.09.131. 힘의 평형 1.1. 실험 목적 및 원리 힘의 평형 실험의 목적 및 원리는 다음과 같다. 힘의 평형 실험의 목적은 합성대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힘이 평형을 이루는 조건을 연구하고, 도식법과 해석법으로 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힘의 평형이란 한 물체에 작용하는 여러 힘의 벡터 합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물체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거나 등속도 운동을 한다. 실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개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이들 힘의 벡터 합, 즉 합력을 구할 수 있다. 도식법에서는 평행사변형 법칙을 이용하여 벡...2024.09.13
-
물리학 정리2024.10.021. 고전 역학 1.1. 운동량과 충돌량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된다. 물체의 질량이 m이고 속도가 v일 때, 물체의 운동량 p는 p = mv로 나타낼 수 있다. 운동량은 벡터량이므로 방향을 가지고 있다. 운동량의 변화율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같다는 것이 뉴턴의 제2법칙이다. 충돌은 두 물체가 서로 접촉하여 물리적 상호작용을 하는 현상이다. 충돌이 일어나면 운동량의 변화가 발생한다. 충돌 전후의 운동량 변화량을 충돌량이라고 한다. 충돌 전후 운동량의 변화량은 충돌 중 물체에 작용한 힘과 시간의 적분으로 계산...2024.10.02
-
당구2024.08.231. 서론 1.1. 실험의 배경 당구의 역학 실험은 Track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두 원판의 2차원 충돌과정에서 운동량 보존 여부와 에너지 보존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벽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탄성 계수를 구하고,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가 같은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 실험은 운동량 보존법칙과 에너지 보존법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단일 입자의 (선)운동량 p는 질량 m과 속도 v의 곱으로 정의되며, 알짜 외력 F가 작용하지 않으면 운동량이 보...202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