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용존산소 측정실험2024.09.111. 용존산소 측정 1.1. 실험 목적 용존산소 측정의 실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용존산소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수중의 용존산소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요인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Winkler-Azide 변법을 이용해 용존산소를 측정하는 원리와 방법을 학습하고, 산화-환원 반응과 요오드 환원 적정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더불어 DO meter를 사용하여 수질을 측정하고,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값과 측정값을 비교해봄으로써 측정 방법의 정확성과 오차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1.2. 용존산소의 정의와 중요...2024.09.11
-
BOD에 적용되는 미적분2024.10.201.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 측정 1.1. 용존산소의 개요 용존산소는 수중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수생생물의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자연수에 용존산소가 충분한 경우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로 인해 수질이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으나,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혐기성 미생물이 활동하게 되어 수질오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용존산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수나 폐수 등의 유기물을 자연수의 자정능력에 맞게 처리하여 방류해야 한다. 한편 용존산소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에...2024.10.20
-
cod2024.11.031. COD 측정 1.1. COD의 정의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은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소비되는 산화제의 양을 산소의 양으로 환산하여 mg/L(ppm)로 나타낸 값으로, 과망간산칼륨이나 중크롬산칼륨(K2Cr2O7)을 산화제로 사용한다. COD와 유기물량 간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으며,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서 산화의 정도가 현저하게 다르다. 예를 들어 당류는 비교적 잘 산화되지만 지방산, 에스테르류, 탄화수소, 아민산 및 피리딘 등 질소를 함유한 화합물은 ...2024.11.03
-
수질정화기술2024.08.311. 하천의 직접정화기술 1.1. 하천의 직접 정화기술의 정의 하천의 직접 정화기술이란 하천이 본래 가지고 있는 정상적인 정화기능이 여러 가지 원인물질, 즉 무기물, 유기물(유해물질을 포함)의 유입으로 감소·소실되는 경우, 인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정화기능을 회복·증대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정화기능을 손상시킨 원인물질에 따라 물리·화학적 방법(침전, 여과, 흡착, 산화 등) 또는 생물적 방법(흡착, 분해, 산화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정상적인 정화기능을 회복 또는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하천이 본래 가지고 있는 정화기능이...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