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리도카인 합성2024.11.061. 약물의 성질과 용도 1.1. 이소프로필렌안티피린 1.1.1. 의약적 효능 이소프로필렌안티피린(isopropyl antipyrine)은 발열, 통증을 일으키는 효소들을 억제하여 해열, 진통 작용을 나타낸다. 혈장 단백질에 최소한으로 결합하여 혈중농도가 높아 효과가 빠르고 크지만 농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시간이 1~2시간으로 짧다. 지속시간이 짧기 때문에 주로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카페인(caffeine)과의 복합제로 사용된다. 카페인은 진통 성분의 흡수를 도와 통증 억제 효과를 상승시키며, 뇌혈관을 수...2024.11.06
-
계량 실험2025.03.271. 계량 실험의 이해 1.1. 실험의 목적과 원리 계량 실험의 목적은 표준 계량 용기의 표준치와 측정치의 비교, 액체 시료 읽는 법의 이해, 비중을 통해 중량과 용량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실험의 원리는 대부분의 조리과정에서 사용되는 계량컵과 계량스푼의 용량을 보다 정확한 눈금실린더(메스실린더)로 측정하여 표준 계량용기의 정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같은 부피의 다른 시료들과 중량을 비교함으로써 비중을 비교할 수 있다. 중량(weight)은 물체에 작용하는 지구 중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 또는 ton 단위를 ...2025.03.27
-
아동간호학 약물2024.08.311. 약물 정보 1.1. Septrin Syrup Septrin Syrup은 설파메톡사졸 40mg/mL와 트리메토프림 8mg/mL가 혼합된 시럽제이다. 이 약은 유효균종인 대장균, 시트로박터, 클레브시엘라, 엔테로박터, 프로테우스(프로테우스 불가리스,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프로비덴시아 레트게리, 모르가넬라 모르가니, 장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시겔라, 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임균, 폐렴연쇄구균, 뉴우모시스티스 카리니, 화농연쇄구균, 포도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폐...2024.08.31
-
투약오류 정의와 사례분석 기본간호학2024.10.271. 투약오류의 정의와 현황 1.1. 투약오류의 정의 투약오류의 정의란 "의약품이 보건의료 전문가, 환자, 소비자의 통제 하에 있는 동안 부적절한 약물 사용 또는 환자에게 위해를 야기/유발 가능한 모든 예방 가능한 사건"이다. 미국투약오류보고 및 예방협의회(NCCMERP)에서는 투약오류를 "의료진, 환자 또는 소비자에 의해 관리되는 동안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야기시키고 환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예방 가능한 사건"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미국병원약사회에서는 투약오류를 "약사, 의사, 간호사, 환자, 제약회사 등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2024.10.27
-
약리학2024.10.211. 약리학 총론 1.1. 약리학의 기초와 원리 약리학은 약물이 나타내는 생물학적 효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약물의 생체 내에서의 작용 기전을 살펴보며, 크게 약동학과 약력학으로 구분된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을 다루며, 약력학은 약물이 생체에 미치는 생리적 반응과 그 작용 기전을 다룬다. 독성학은 독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독물에 의한 중독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약물은 화학적 구조에 따라 화학명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은 일반명이다. 상품명은 제약 회사에서 붙인 고유의 이름이다. 혼...2024.10.21
-
7rights2025.05.181. 투약의 일반적 원칙 1.1. 7 Rights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정확한 약물(Right Medication)이다. 약물의 정확한 명칭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흔히 약물의 속명이나 상품명이 쓰이나 화학명 또는 일반명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약물명을 혼동할 경우 잘못된 투약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확한 약물명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동일 성분의 약물이라도 상품명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약물 준비 시에는 한 사람의 약물만을 동시에 준비하고, 약물의 유효기간...2025.05.18
-
의학용어2025.06.031. 의학용어 1.1. 약물 투여 관련 약어 AC(ante cibum)는 식전을 의미하며, ad lib(ad libitum)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를 뜻한다. BID(bis in die)는 하루에 두 번, Daily는 매일을 가리킨다. PC(post cibum)는 식후를 나타내며, p.r.n(pro re nata)은 필요할 때마다를 의미한다. qAM은 아침마다, h(hora)는 시간을 뜻한다. qh는 매시간, q2h는 2시간마다, q4h는 4시간마다, q6h는 6시간마다, q8h는 8시간마다를 의미한다. QID(quatre in...2025.06.03
-
투약오류보고서2025.05.29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투약은 간호사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이며, 정확하고 안전한 약물 투여는 간호사의 중요한 책임이다. 투약오류는 병원 내에서 자주 발생하지만 예방 가능한 오류이다. 투약오류는 환자의 입원기간 연장, 자원 낭비, 환자 손상 및 사망과 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간호사에 의한 투약오류가 가장 많은 편이며, 임상경력, 개인 성격, 피로 등의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투약오류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자의 안전과 진료의 질 향상을...2025.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