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욕창관리2025.02.201. 서론 1.1. 욕창의 정의와 특성 욕창이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압력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혈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의 손상상태이다. 처음에는 피부가 벗겨지는 정도의 조그만 상처로 시작되지만 금방 깊숙하게 썩어 들어가는 상처로 진행하게 되며, 심하면 뼈가 노출되고 조직 괴사가 퍼져가는 지경에까지 이른다. 이때 압박이 없는데도 계속 붉은 피부가 보이며 갈라지고 물집이 생기고 벗겨지며 피부가 튼다. 또한 피부표면 또는 더 깊숙이 침윤된 개방성 상처가 생...2025.02.20
-
욕창 낙상2024.11.201. 통증 사정 1.1. 통증 초기 사정 환자가 처음 입원했을 때 통증의 위치(position), 양상(quality), 악화/완화요인(relieving or aggravating factor), 강도(severity), 시기(timing)와 통증력(pain history)를 사정한다"이다. 통증의 위치는 대상자에게 신체그림에 통증이 있는 부위를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한다. 통증의 양상은 대상자가 통증의 특성을 자신의 말로 표현하도록 하고 기록하여 통증의 원인을 파악한다.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 특정한 상황, 자...2024.11.20
-
욕창 규정2025.05.141. 개요 1.1. 욕창 관리 규정의 목적 욕창 관리 규정의 목적은 입원 환자의 욕창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욕창예방관리 및 보고체계를 갖추고, 욕창발생 고위험 환자를 평가하여 욕창예방활동을 실시하며, 필요한 경우 욕창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입원 환자의 욕창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욕창 예방 관리와 보고 체계를 마련하고, 욕창 발생 고위험 환자를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들에 대한 예방 활동을 실시하며, 필요한 경우 적절한 욕창 간호를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욕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규정은 입원 환자의 욕창 발생을...2025.05.14
-
욕창 QI 보고서2024.09.291. 병동 내 욕창 발생률 낮추기 위한 QI 활동 1.1. 문제 정의 병동 내 욕창 발생률 낮추기 위한 QI 활동에서 문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본 병동은 정형외과 환자가 많아 부동과 노인 환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은 욕창 발생의 위험이 높아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해주어야 하지만, 바쁜 업무로 인해 간호사들이 주기적인 체위변경을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욕창이 발생하게 되면 통증, 조직 괴사, 만성 골수염, 패혈증,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이는 환자의 건강과 안위에 심각한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