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욕창관리 체계 강화와 적용을 통한 병동 개선2024.10.221. 욕창 관리 체계 강화와 적용을 통한 무 욕창 병동 만들기 1.1. 문제발견 문제발견은 다음과 같다. 요양 병원 특성상 와상/마비 환자 수가 증가되면서 직원의 근무 조건이 열악해지고, 의식 및 수행도가 부족하며, 표준화되지 않은 관리법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본원의 현 욕창 관리 체계에서 욕창이 없던 입원환자와 욕창 저위험군 환자에서도 욕창이 발생하는 한계가 관찰되었다. 욕창은 노인 그리고 요양병원에 있어 언제나 심각하게 대두되는 문제임에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이에 의료...2024.10.22
-
욕창 낙상2024.11.201. 통증 사정 1.1. 통증 초기 사정 환자가 처음 입원했을 때 통증의 위치(position), 양상(quality), 악화/완화요인(relieving or aggravating factor), 강도(severity), 시기(timing)와 통증력(pain history)를 사정한다"이다. 통증의 위치는 대상자에게 신체그림에 통증이 있는 부위를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한다. 통증의 양상은 대상자가 통증의 특성을 자신의 말로 표현하도록 하고 기록하여 통증의 원인을 파악한다.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 특정한 상황, 자...2024.11.20
-
통증관리 시뮬레이션2024.08.311. 통증 사정 및 관리 1.1. 통증 사정 내용 환자가 처음 입원했을 때 PQRST(통증의 위치, 통증의 양상, 통증 악화 및 완화요인, 통증의 강도, 통증의 시간)와 통증의 과거력을 사정한다"" P(Position) 통증의 위치는 "통증이 있는 부위는 어디인가?"와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통증이 퍼져나가는가?"를 확인한다"" Q(Quality) 통증의 양상은 "통증이 어떻게 느껴지는가?"와 "통증과 동반되는 다른 증상이 있는가?"를 사정한다"" R(Relieving or aggravating factor) 통증 완화 및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