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요한계시록2024.09.231. 요한계시록의 이해 1.1. 요한계시록의 저자, 목적, 주제 요한계시록을 기록한 저자는 예수님의 열두 제자 중 한 사람인 세베대의 아들 사도 요한이다. 계시록 본문에 "[이] 책의 저자는 '요한'"이라고 명시되어 있다(계1:1,4,9; 22:8). 이 요한은 요한복음과 요한서신들의 저자와 동일한 사도 요한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책의 "제일 저자"는 하나님이라는 사실이다. 사도 요한은 밧모섬에서 직접 하나님의 계시를 보고 들었으며, 그 보고 들은 바를 기록했다(계1:11,19; 19:9). 이 책의 목적은 ...2024.09.23
-
신약신학2024.10.211. 공관복음의 신학 1.1. 세례 요한과 예수님의 하나님 나라 선포 세례 요한과 예수님의 하나님 나라 선포는 공관복음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세례 요한은 성육신 전 시대의 예언자적 움직임을 대변하며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였다. 그는 당시 유대 사회의 종말론적 기대감을 반영하며 메시야의 출현을 알리는 선구자로 등장하였다. 세례 요한은 회개와 세례를 통해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고지하였는데, 이는 곧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의 공적인 사역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였다. 예수님께서는 세례를 받으신 후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기 시작하...2024.10.21
-
그레고리 K 비일 성전신학 요약 서평2024.12.101. 서론 1.1. 요한계시록 21장의 마지막 환상 요한계시록 21장의 마지막 환상은 새롭고 완전한 창조세계를 보여준다. 요한은 "새 하늘과 새 땅"(계 21:1)을 보았는데, 이는 현재의 타락하고 죄로 가득한 세상이 종말에 이르러 완전히 새롭게 창조될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요한은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계 21:2)을 보았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친히 내려와 거하실 완전한 도시-성전을 말한다. 이처럼 요한의 환상 속에서는 새로운 창조 세계와 그 중심에 자리한 도시-성전이 명확히 구분되어 나타난다. 그런데 이는 앞선 부분...2024.12.10
-
요한계시록연구2024.10.131.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숫자에 관한 연구 1.1. 요한계시록에 드러난 숫자의 상징적 의미 1.1.1. 일곱 교회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일곱 교회는 당시 소아시아 지역에 실재하던 교회들로, 요한은 이들 교회의 영적 상태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각각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일곱 교회는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라오디게아 등으로, 이들 교회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교회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요한계시록에서 숫자 "일곱"은 완전성과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완성...2024.10.13
-
요한계시록2024.11.031. 요한계시록 4장 주해 1.1. 저자, 목적과 주제 요한계시록을 기록한 저자는 예수님의 열두 제자 중 한사람인 세배대의 아들 사도 요한이다. 계시록은 이 책의 저자를 '요한'이라고 말한다(1:1,4,9; 22:8). 이 요한은 요한복음과 요한서신들의 저자와 동일한 사도요한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책의 '제일 저자)는 하나님이라는 사실이다. 사도요한은 밧모섬에서 직접 하나님의 계시를 보고 들었으며(계1:9-11; 22:8), 그 보고 들은 바를 기록했다(계1:11,19; 19:9). 우리는 이 말을 그대로 믿어야...2024.11.03
-
사복음서2독정리2024.10.261. 성경식물과 하나님의 메시지 1.1. 하나님의 메시지 형태 성경에서 하나님의 메시지는 주로 선지자를 통해 민족이나 위정자에게 전달되었다. 인간을 통한 경우 외에 동물이나 식물 등을 통해서도 전달되었다. 하나님의 메시지는 그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부끄러움을 상징하는 무화과나무의 잎, 하나님과 조우한 경험을 드러내는 떨기나무와 참나무(상수리나무), 믿음과 은혜를 나타내는 뽕나무와 겨자씨, 축복을 상징하는 버드나무, 축하와 잔치를 표현하는 목화와 몰약나무, 성전건축과 관련된 백향목, 십일조 작물인 박하, 안식일 개념을 드러내...2024.10.26
-
남 유다의 멸망은 하나님의 심판인가2024.12.071. 구약성경 개괄 1.1.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1.1.1. 이사야서 1.1.1.1. 이사야의 생애와 시대 이사야는 남쪽 유다가 앗수르의 위협을 받던 시기에 사역을 하는데, 유다 왕 웃시야,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 4대에 걸쳐 장기 사역을 합니다."" 이사야는 B.C. 739년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소명을 받고, 므낫세 왕이 통치할 때까지 선지자 사역을 계속합니다. 이사야는 B.C. 701년에 앗수르의 군대가 예루살렘 주민들을 포로로 잡아가려고 남쪽 유다를 공격하는 중요한 시기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습니다. ...2024.12.07